(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국내 경기가 급격하게 하강할 확률은 낮은 반면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금리 상승으로 경제 주체가 유동성 리스크에 직면할 확률은 높다는 진단이 나왔다.

신우준 IBK기업은행 부장은 9일 예금보험공사가 발간한 '금융리스크리뷰 여름호'에 기고한 '경기침체기 대비를 위한 유동성리스크 관리'를 통해 "총고정투자율과 총고정투자증가율로 살펴볼 때 국내 경기가 급격하게 하강할 확률은 낮다"고 진단했다.

총고정투자율은 총고정투자액을 실질 국내총생산(GDP)으로 나눈 것으로 성장 잠재력을 나타낸다.

신 부장은 총고정투자율이 IMF 외환위기를 앞둔 1997년 직전년도 대비 2.7%포인트(p) 낮아졌고,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3년에서 2007년까지 약 1.9%p로 완만하게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신 부장은 "반면 2014년부터 2017년까지는 3%p 상승하고 있다"며 "총고정투자액은 한 해 동안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 중에서 현재의 소비 대신 미래의 생산을 위해 투입된 금액으로 이처럼 총고정투자율이 높아질수록 경제성장률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단기적 경기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총고정투자증가율 역시 두 번의 금융위기 시기보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안정적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라 국내 금리가 오르며 경제 주체들이 다양한 경로로 유동성 리스크에 직면할 확률이 높아진 것으로 진단됐다.

유동성 리스크는 현금유입과 현금유출의 불일치로부터 발생하는 추가비용이나 자금손실 확률을 뜻한다.

금리 상승기에 대출자가 이자 부담 증가로 연체나 자금경색이 직면하거나 부도로 연결되는 신용 리스크는 유동성 리스크에 이어 진행된다.

신 부장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올해 두 번 금리를 올렸고 올해 안에 두 번 더 인상하겠다고 예고했다"며 "한국은행도 한미 금리 차 역전에 따른 외화유출을 막고자 하반기에는 금리를 올릴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동성 리스크가 신용 리스크로 이어져 경기침체가 나타나지 않도록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고 했다.

그는 "현재 국내 시중은행은 대부분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과 순안정자금조달비율(NSFR) 모두 100%를 초과해 유동성 리스크에 어느 정도 대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며 "개별 가계의 경우 금리 인상에 따라 추가되는 유동성 리스크를 어떻게 해소할지 점검해야 할 시점이다"고 평가했다.

한국은행의 2017년 발표에 따르면 가계의 평균 금융자산은 9천8백만 원,부채는 5천만 원이다.

또 월평균 417만 원 소득 중 저축은 181만 원(보장성보험 포함), 지출은 236만 원이다.

금리가 1%p 인상되면 월 이자추가 부담금액은 4만1천670원이 증가한다.

신 부장은 "은행이 규제에 따라 지표를 관리하듯 가계도 금리 인상 시기에 직면하게 되는 유동성 리스크에 대한 구체적인 점검이 시급하다"며 "기업도 금리민감 부채로 인한 추가적인 이자부담금액을 마련할 방안을 강구하고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화부채 추가 부담금액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mr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