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정부가 13일 발표한 '혁신성장 전략투자 방향'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국가적 차원에서 플랫폼 경제 구축에 나서겠다고 밝힌 대목이다.

개별기업 차원에서 투자가 어려운 분야라는 점을 전면에 내세웠지만, 혁신성장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보여줌으로써 민간 기업의 동참을 끌어내기 위한 의도가 깔린 것으로 풀이됐다.

3대 전략투자 분야별 선정 사유를 살펴보면, 데이터·블록체인·공유경제와 인공지능(AI)는 데이터가 기존 생산요소인 사람, 자본과 함께 4차산업의 핵심생산 자원임에도 폐쇄적 데이터 축적과 표준화, 접근성 제약 등이 혁신을 제약하는 요소로 꼽혔다.

정부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800억 원을 들여 교통, 에너지, 환경, 통신, 금융 등 10개 분야의 빅데이터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로 했다.

양자 컴퓨팅, AI알고리즘, 지능형 반도체 등 빅데이터 활용기술이 고도화될 수 있도록 AI핵심기술에 800억 원을 투자하고 빅데이터 거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에도 30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빅데이터 활용이 대기업 중심으로 흐르지 않도록 중소기업과 창업·벤처기업 1천 개사에 구매바우처를, 640개사에 가공바우처를 제공하는 데이터 디바이드 사업에도 1천억 원을 배정한다.

또한 중소기업의 경쟁력과 수출역량 강화를 위한 데이터·물류·업무공간 공유플랫폼을 구축하는 공유경제 기반 구축에도 300억 원을 사용한다.

수소경제는 수소차를 넘어 석유를 대체할 미래에너지로 자리 잡도록 생산, 저장·운송, 이용 등 밸류체인 구축을 지원한다.

연구개발(R&D) 실증 사업과 권역별 수소생산 거점 마련에 각각 700억 원과 200억 원이 배정됐다.

이들 플랫폼 경제를 뒷받침할 핵심인력 1만 명 양성에는 600억 원을 지원한다.

AI, 빅데이터, 바이오 등 4차산업 등은 당장 내년부터 2천 명을 선발한다.

선발 인력 중 500명은 해외 유명 연구소나 기업에 보내 공동프로젝트나 인턴십을 경험하도록 하고, 1천500명은 국내에서 산업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인력양성과 별개로 프랑스의 에콜42을 벤치마크한 비학위과정의 혁신교육 프로그램도 도입한다.

민간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되 해외 유명 교육기관, 연구기관·기업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형식인데 3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정부는 플랫폼 경제 구축을 위해 내년 예산 1조5천억 원을 시작으로 오는 2023년까지 9조~10조 원까지 투자 규모를 키워나갈 생각이다.

임기근 기획재정부 혁신성장본부 선도사업2팀장은 "혁신성장은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대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 연구자 등 국내 총체적 역량이 동원됐을 때 성과가 나온다"며 "추진과정에서 정부 민간의 역할분담은 철저히 지킬 생각이다"고 설명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