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미 기자 = 터키 리라화의 폭락은 어리석은 경제정책과 미국과의 분쟁으로 인한 국지적 재앙에 그치지 않는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일(현지시간) 진단했다.

터키의 위기는 신흥국에 대한 경고로 신흥국의 경제 거버넌스의 개선이 투자자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부실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매체는 지적했다.

2000년대 이후 신흥국 중앙은행이 독립성을 갖게되고 민주주의가 뿌리를 내리는 가운데 무역이 호황을 보이고 외환보유액을 완충장치로 갖게되면서 자본유출 위험에 대응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13년 테이퍼 텐트럼(taper tantrum)을 계기로 신흥국의 거시경제 운용이 부적절했던 것으로 드러났고 한때 서방 민주주의를 옹호했던 지도자들은 독재자가 되고 있다고 WSJ은 지적했다.

터키는 이같은 '제도적 실패의 가장 극단적 사례'지만 다른 신흥국에서 비슷한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고 매체는 말했다.

인도의 포퓰리스트 지도자는 서슴없이 중앙은행에 개입하고 중국은 공산당 지도자의 임기 제한을 없앴으며 필리핀 대통령은 사법절차 없이 살인을 저지르고 있다.

동유럽 지도자들은 폴란드를 중심으로 제도를 무시하고 있고, 러시아는 과거 경제가 망가진 이후 지금은 독재국가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WSJ은 민주국가나 독재국가나 경제 상황은 비슷하게 전개될 수 있지만 제도가 취약한 국가는 스트레스 대처가 어려워 경기 불황에 의한 타격이 크다고 지적했다.

2008년 금융위기와 테이퍼 텐트럼을 겪으면서 신흥국에 대한 투자가 이전만큼 고조되지는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신흥국의 초과성과에 대한 믿음이 여전하다는 점을 WSJ은 우려했다.

금융시장을 둘러싼 심리가 반전되면 비관적 집단에 대해 등을 돌리는 역투자자(contrarian)의 맹공격이 시작될 수 있다는 경고다.

smjeo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