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김예원 기자 = 내달 총파업을 예고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을 설득하기 위한 은행장들의 발걸음이 분주해지고 있다.

우선 김태영 전국은행연합회장 겸 사용자협의회장과 허권 금융노조위원장의 대표자 교섭을 통해 총파업만큼은 피해 보자는 게 은행장들의 중론이다.

하지만 금융노조 측은 최소 중앙노동위원회가 제시한 조정안 이상의 성과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라 양측의 간극의 줄이긴 쉽지 않아 보인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일 김 회장은 농협ㆍ부산ㆍ신한ㆍKB국민은행 은행장과 함께 금융노조 총파업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동에선 주 52시간 근무제와 노동이사제 도입 등의 쟁점사항에 대한 은행별 입장을 청취하고 금융노조 측과의 적극적인 대화를 통해 총파업을 막는 데 총력을 다하기로 뜻을 모았다.

김 회장은 "우선 금융노조와 대화를 적극적으로 나눠 총파업을 막을 수 있는 최선을 찾아보자는 게 공통된 입장"이라며 "쟁점 사안에 대한 이야기를 모두 나눴지만, 아직 결론을 내진 못 해 사용자협의회 차원에서도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오후에는 김 회장과 허 위원장의 회동도 있었지만, 임금 인상률과 정년 및 임금피크제 연장, 52시간 근무제 도입에 대한 입장차만 확인한 채 끝났다.

양측은 이달 말까지 한두 차례 대대표 교섭을 추가로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중노위는 2.6%의 임금인상과 임금피크제 적용 연령 2년 연장을 권고했다. 금융노조가 제시한 3.7%와 사측의 1.7%의 중간값이었다.

임금피크제는 금융노조의 손을 들어준 반면 노동이사제 등은 노사 간 합의할 것을 권고했다.

금융노조는 이달 말까지 대표자 교섭에 실패하면 예정대로 내달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총파업이 목적은 아니지만, 이달 내로는 결론이 필요하다"이라며 "쟁점 사안에 대해 양보 없이 설득만 지속하려 한다면 예정된 총파업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내달 총파업이 진행되면 이는 2016년 9월 이후 2년 만의 일이다. 그리고 역대 4번째다.

성과연봉제 도입을 반대하기 위해 신한ㆍ우리ㆍKB국민ㆍKEB하나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에서만 1만8천여 명이 참여했다. 파업 참여율은 3% 수준으로 추정됐다.

참여율이 저조했던데다 영업점 현장의 대응책도 충분해 큰 문제는 없었다.

하지만 어려운 경기 속에 대출 장사를 통해 막대한 이자 이익을 벌고 있다는 비난 속에 총파업이 현실화되면 은행에 대한 반(反) 정서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은행권도 이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지만, 중노위 권고안을 그대로 수용하기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입장이다.

한 시중 은행장은 "은행마다 특성이 달라 중노위 권고안을 수용하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임금피크제와 정년연장 모두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시중 은행장은 "가뜩이나 은행의 이자장사를 향한 비난이 커지고 있는데 총파업까지 하는 것은 안된다"며 "우선 상시적인 논의 창구를 만들고 실무진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쟁점 사안에 대한 시각차를 좁혀가야 한다"고 말했다.

jsjeong@yna.co.kr

ywkim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