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기자 = 고용지표 부진과 글로벌 무역분쟁 등 불확실성에도 채권시장은 여전히 4분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벌어지는 내외 금리차를 무시할 수 없는 데다 각종 대책에도 잡히지 않는 부동산 가격이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키웠기 때문이다.

서울 채권시장 참가자들은 22일 한국은행이 오는 10월이나 1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아직 충분하다고 전했다.



◇ 내외 금리차 확대·부동산 가격 상승…금리 인상 필요성 키워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오는 9월 연방준비제도(Fed)의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93.6% 반영했다. 올해 12월 두 차례 금리 인상 가능성은 60.6%를 나타냈다.

연준이 지난 6월 연방기금 금리를 25bp 인상하면서 미국 기준금리는 1.75~2.00%로 올랐다. 이로써 미국 기준금리 상단과 한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50bp로 확대됐다.

자본유출이 없을 것이라 자신했던 한국은행도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100bp까지 벌어지면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또한, 각종 안정화 대책에도 진정되지 않는 국내 부동산 시장 과열도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저금리가 과도하게 오래 유지될 경우 부동산으로 자금이 몰려 자원 배분의 비효율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부동산 가격의 지역별 양극화가 심화하는 점도 금융 불균형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최근 서울의 아파트값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데 이는 주택담보대출과 가계대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자산운용사의 한 채권 운용역은 "미국이 올해 금리를 4번이나 올리면 한은은 계속 불안할 수밖에 없다"며 "더군다나 각종 대책에도 가계부채는 계속 늘고 부동산 가격도 잘 잡히지 않고 있어 완화 정도를 조정할 필요성은 충분해 보인다"고 예상했다.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도 "지표만 보면 금리 인상이 힘들어 보일 수 있다"면서도 "부동산 매매 가격도 계속 오르는 등 금융 불균형 해소 차원에서 금리 인상은 여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저금리가 오래갈 경우 생산성 있는 곳으로 자원이 가는 게 아니라 부동산으로 수요가 몰리게 된다"고 덧붙였다.



◇ 기저효과에 4분기 물가·고용 등 지표 개선 가능성

시장참가자들은 7월 고용 쇼크에 연내 금리동결 주장이 급부상했지만, 4분기에는 물가 등 경기 지표가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7월 금통위 의사록에서는 금통위원들이 4분기 물가 상승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고용 또한 기저효과와 더불어 정부가 재정 확장으로 일자리를 늘리겠다고 공언하면서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다른 증권사의 채권 딜러는 "10월과 11월 지표가 좀 나아지면 한은은 바로 금리를 올릴 수 있다"며 "고용지표도 전년 대비라 기저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이고 물가도 4분기부터는 올라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고용 부진에 심리가 타격을 받긴 했지만, 아직 소비와 수출이 견조하니 4분기 금리 인상 가능성은 남아있다"고 전했다.

ssk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