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경림 기자 = 금융감독원이 내년부터 증권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험성과 건전성을 진단하는 지표를 도입한다.

2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국내 신용평가사들과 태스크포스팀(TFT)을 꾸리고 부동산 PF와 우발 채무의 위험도를 진단하는 지표를 개발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하는 지표는 자본금과 부동산PF 규모, 채무보증 등 우발 채무 규모, 선순위·후순위 대출 여부 등을 종합해 자본금 대비 얼마 이상 채무가 있을 경우 위험한지를 분석해 적정 여부를 따진다.

아직 구체적인 산출 방법은 정해지지 않았으나 금감원은 연내 지표 산식을 결정하고 내년부터 실제 검사에서 사용할 목표를 세웠다.

이 같은 연구는 그간 부동산 PF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과학적인 분석 방법을 적용하겠다는 의도에서 시작됐다.

기존에는 금감원이 직접 증권사마다 부동산 PF의 사업 내용과 규모, 상환 순위 등을 하나하나 보고받아 확인했다.

부동산 PF는 시공사 등에 대출을 지급하고 이를 선순위 또는 후순위로 나눈 뒤 일정 수준의 이자를 받는 식으로 구성되다. 부동산 경기에 따라 차입자의 상환 능력이 좌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용평가사 등을 중심으로 과도한 우발 채무가 위험하다는 지적이 계속돼왔다.

특히 최근 2~3년 사이 한국투자증권과 메리츠종금증권을 비롯해 현대차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교보증권 등을 중심으로 자본금 대비 우발 채무가 급격히 늘어나 업계 안팎의 주목을 받았다.

실제로 지난 1분기 말 기준 국내 25개 증권사의 우발 채무 규모는 25조1천억원에 이르렀다. 2010년 초에는 불과 2조원에 그쳤으니 7년 만에 12배 이상 규모로 폭증한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우발채무 규모가 크다고 하는 메리츠종금증권 같은 경우 선순위 대출이 많기 때문에 부실 위험이 크지는 않다"며 "위험요인들을 한 번에 볼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해 분석하면 시장의 우려가 과도한지 아닌지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kl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