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현정 기자 = BNK금융지주가 회장 후보를 외부인사로까지 확대하면서 획기적인 지배구조 변화를 도출해 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지속해 온 순혈주의 인사 방식에서 벗어던졌다는 점만으로도 긍정적이라는 평가도 있지만, 시세조종 사건으로 불거진 리스크를 회피하려는 고육지책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 사외이사들은 전일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금융지주 회장과 은행장을 분리하고, 회장직에 외부인사가 도전할 수 있도록 개방형 공모방식으로 회장을 선출하기로 했다.

현행 규정에 따르면 최고경영자 후보는 사내이사 또는 지주 업무집행 책임자, 자산 5조 원 이상 자회사의 최고경영자 등으로 한정돼 있지만 임추위의 추천을 받으면 외부인사도 후보가 될 수 있도록 했다.

엘시티 특혜 대출과 시세조종 등 연이어 터진 의혹이 모두 성세환 회장의 제왕적 지배구조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있었던 만큼 강도 높은 경영 혁신과 지배구조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으로 풀이된다.

임추위가 회장 후보군을 외부 출신으로 확대하면서 한층 다양한 후보군이 거론되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순혈주의를 고집하기보다는 새로운 외부 인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BNK금융이 실추된 이미지를 회복하고 진정한 지배구조를 개편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부 경영진 모두 개혁 대상이 되어야 하고, 이 때문에 또다시 내부 출신이 전권을 쥐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금융당국도 BNK금융이 분명한 권력 견제 장치를 만드는 등 경영 쇄신이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외부 출신 영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성 회장이 구속기소 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것은 어찌 보면 내부 출신이 최고 경영권을 장악하는 순혈주의가 굳어진 것이 원인"이라며 "외부 금융전문가 영입 등 새로운 시도가 지배구조 개선과 이미지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외부 인물로는 박영빈 전 경남은행장과 이정환 전 한국거래소 이사장 정도만 거론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회장 공모가 시작되면 현 정부 창출에 기여한 인물들이나, 시중은행 부행장 출신 또는 금융당국 출신들이 대거 이름을 올릴 가능성이 있다고도 보고 있다.

현실적으로 외부 출신 회장이 오기 힘들 것이란 주장도 만만치 않다.

비상 상황에서 내부 사정을 잘 아는 인물이 회장이 되어야 조직을 빠르게 안정시킬 수 있고 안정적인 경영승계를 이뤄낼 수 있다는 것이다.

BS금융지주 시절 이장호 회장에 대한 금융당국의 사퇴 압력으로 관치금융 논란이 있었던 점도 부담이다.

이사회가 회장과 부산은행장을 분리하는 등 나름의 지배구조 변화를 이뤄내고 있는 상황에서 한꺼번에 큰 변화를 겪게 될 경우 감당해내지 못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한편, 내부에서 유력한 차기 회장 후보는 BNK금융 회장 권한대행을 맡은 박재경 부사장과 손교덕 BNK경남은행장 등이다.

박 부사장은 성 회장, 이장호 전 회장과 같은 동아대학교 출신으로 부산은행으로 입행해 요직을 두루 걸친 BNK금융의 대표적인 성골로 분류된다. 손 행장 역시 내부 출신으로는 처음 은행장까지 오른 인물로 박 부사장과 함께 경영승계 후보군에 포함돼 있다.

hj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