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금융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 인선이 마무리되면서 금융권 인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치권과 관가에서는 청와대가 정통 관료 출신을 금융위 위원장과 부위원장에 임명함으로써 금융권 인사개입을 줄이겠다는 시그널을 줬다는 해석이 나온다.

청와대는 20일 김용범 금융위 사무처장을 신임 금융위 부위원장에 임명했다. 이번 인사로 금융위는 위원장과 부위원장 자리가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두 달 반 만에 채워지게 됐다.

청와대가 정통 관료 출신을 금융위 부위원장으로 임명한 것은 지난 정권 때처럼 금융권 인사에 노골적·직접적으로 개입하지는 않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박근혜 정권 초대 금융위 부위원장을 맡았던 정찬우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금융권 인사 개입으로 물의를 빚었다. 정 이사장은 금융위 부위원장 시절 '비선 실세' 최순실 씨의 청와대 인사 청탁에 따라 KEB하나은행 인사에 개입했다는 의혹에 따라 검찰 수사를 받았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금융위 산하 기관이나 정부 지분이 있는 금융기관의 인사는 금융위 부위원장이 교통정리를 하는 게 맞다"면서도 "정 이사장은 정부의 인사 권한이 없는 금융기관까지 정권 실세의 청탁에 따라 인사개입을 하면서 문제가 됐다"고 말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취임 초기 금융공기업 기관장들로부터 일괄 사표를 받았다. 당시 이철휘 자산관리공사 사장, 박대동 예금보험공사 사장, 김규복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한이헌 기술보증기금 이사장, 조성익 증권예탁결제원 사장, 김창록 산업은행 총재, 윤용로 기업은행장 등 대통령이나 금융위원회가 임면권을 가진 기관장들은 대부분 사표를 냈다.

예금보험공사가 대주주였던 우리금융지주의 박병원 회장과 박해춘 우리은행장, 정경득 경남은행장, 정태석 광주은행장 등도 사의를 표명했다.

새 정부의 금융권 인사 방침은 민간 금융회사는 인사권을 존중하고, 정부 산하나 정부 지분이 있는 금융기관도 일괄 사표 제출과 같은 인위적인 물갈이는 지양하는 데 방점이 찍힐 전망이다. 이에 따라 금융 공공기관장 인사도 공석이거나 임기가 곧 만료되는 기관장 위주로 인선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감독원장 교체 여부도 인사 가늠자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진웅섭 금감원장의 임기는 오는 11월까지다. 진 원장이 임기를 완주한다면 청와대가 금융기관장의 임기를 최대한 보장하겠다는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청와대와 여당 내에서 가계부채 대책을 오는 8월 발표할 예정이기도 하니 금감원장은 임기를 보장해줘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주요 '친박' 공공기관장들에 대해서는 자진 사퇴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교체 작업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미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과 고등학교·대학 선후배 사이여서 '낙하산 논란'이 있었던 강면욱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이 임기 종료를 7개월여 앞두고 사의를 표명한 바 있다.

금융위 안팎에서 거명되는 주요 친박 공공기관장은 정찬우 거래소 이사장과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등이다.

mr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