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ECB, '인플레 둔화 일시적' 판단서 한발 후퇴

BOJ, 인플레 전망 낮추고 목표 달성 시점 또 미뤄



(서울=연합인포맥스) 김성진 기자 = 미국과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일본 등 이른바 '주요 3개국'(G3) 중앙은행이 오르지 않는 인플레이션 때문에 다시 고민에 빠졌다.

국제유가 회복에 따른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통화정책을 보다 긴축함으로써 통화정책의 정상화 속도를 높이려 했던 시도에 일단 브레이크에 걸린 모양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20일(현지시간) 열린 정례 통화정책회의에서 양적완화(QE) 연장 및 확대 가능성을 열어놓는 선제안내(포워드가이던스)를 그대로 남겨뒀다.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가 지난달 27일 'ECB 포럼' 연설에서 통화정책의 조정 필요성을 언급한 뒤 QE 축소(테이퍼링) 신호가 조만간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커졌으나 ECB는 일단 인플레이션 동향을 더 지켜보자는 선택을 취했다.

드라기 총재는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QE 관련) 우리의 논의는 가을에 있을 것"이라고 말했으나 특정 시점을 정해두지 않기로 만장일치로 합의를 봤다고 밝혔다.

그는 유로존의 경기회복은 "탄탄하다"면서도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억눌려 있다는 점을 반복해서 지적했다.

'ECB 포럼' 연설에서는 에너지 가격 하락 등 일시적 요인이 주로 작용해 인플레이션을 누르고 있다고 진단한 것에 견줘 더 신중해진 태도를 보였다.

드라기 총재는 기자회견 모두 발언에서 "(변동성이 큰 항목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 지표들은 여전히 전반적으로 억눌려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인플레이션 둔화에 대해 보다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제스쳐는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의장이 먼저 보여줬다.

옐런 의장은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기자회견에서는 통신비 인하 등 일시적 요인이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에 "상당히" 영향을 줬다고 했었으나, 지난주 의회에 나와서는 이런 요인들이 "부분적으로" 영향을 줬다고 말을 바꿨다.

일시적이지 않은 요인들이 인플레이션 둔화에 생각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을 가능성을 인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옐런 의장의 태도 변화 뒤 시장에서는 연준의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진 바 있다.

이날 ECB에 앞서 통화정책회의를 연 BOJ는 아예 향후 3년간의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모두 낮추고 인플레이션 목표인 2% 달성 시점을 '2018 회계연도 무렵'에서 '2019 회계연도 무렵'으로 1년 연기했다..

BOJ의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 시점은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총재의 재임 기간에 벌써 여섯 번 미뤄졌다.

골드만삭스의 바바 나오히코 이코노미스트는 BOJ가 전례가 없는 통화완화 정책으로부터 벗어날 출구에서 더 멀어진 것 같다면서 "최소한 2017 회계연도(2017년 4월~2018년 3월) 내내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과 유로존의 인플레이션은 국제유가 기저효과가 살아있던 지난 2월에 정점을 찍은 뒤 동반 하락하는 모습이다.

2월부터 6월까지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전년대비 상승률을 보면 미국(2.7%→1.6%)과 유로존(2.0%→1.3%) 모두 낙폭이 가파르다.

일본은 기준 물가지표인 근원 CPI(신선식품 제외)가 지난 5월까지 5개월 연속 플러스 상승률을 보였으나 절대 수준은 여전히 매우 낮은 상태다.

5월 상승률은 0.4%에 그쳤다.







<미국 CPI 상승률 최근 추이>

※자료: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홈페이지

sjkim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