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병극 기자 = 부동산시장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더욱 주목하기 시작했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가 확대된 데다 과잉유동성이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으로 유입되면서 집값 상승을 부채질했다는 인식이 커진 탓이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27일 "이번 FOMC의 금리 인상은 예상됐던 수순이다"며 "국내적으로 미국의 12월 금리 인상이 유력한 데 따른 금리차 확대와 부동산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문 애널리스트는 과도한 유동성 국면에서 추석 이후에도 9·13대책이 효과를 지속하는지 부동산시장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미 금리차 이슈 등으로 국내에서도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이 힘을 얻는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이 한은의 통화정책에 주요한 변수가 될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이번에 미국 FOMC가 기준금리를 연 2.00%∼2.25%로 0.25%포인트 인상함에 따라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0.75%포인트로 벌어졌다. 현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연 1.50%에서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한미 금리 격차가 0.25%포인트 확대될 경우 외국인 자본 15조원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금리역전 현상 장기화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위험에 노출될 경우 자본유출 우려가 현실화할 수 있다며,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와 맞물려 국내 부동산 이슈와 관련해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도 여기저기에서 고개를 들고 있다.

내수경기 부진을 감안할 때 한은의 금리 인상이 가당치 않다는 의견도 여전하지만, 한미 금리차 확대가 가져올 수 있는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막고 모든 국민의 관심사로 부상한 집값 폭등에 통화당국도 시그널을 비춰야 한다는 의견도 없지 않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국회 대정부질문을 통해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자금 유출이나 한국과 미국의 금리역전에 따른 문제, 가계부채 부담 증가도 생길 수 있고 현재와 같은 문제가 계속될 것이라는 고민이 있다"면서 "(금리인상 여부에)좀 더 심각히 생각할 때가 충분히 됐다"고 언급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그는 "박근혜 정부 당시 금리 인하가 나름의 이유는 있었지만, 결국 '빚내서 집 사자'는 분위기를 만들었고 가계부채 증가를 가져온 역작용을 낳았다"고 지적했다.

신동수 유진증권 애널리스트도 "8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대부분 금통위원이 한미 금리역전, 가계대출 증가, 주택가격 상승 등 금융안정에 더욱 치중해야 한다는 점을 피력했다"고 지적하면서 "이번 미국 FOMC의 금리 인상은 결국 한은에도 기준금리 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ec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