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병극 기자 = 우리나라 가계자산에서 부동산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육박하고, 주택을 보유한 가구의 경우에는 부동산자산의 비중이 무려 80%에 근접했다. 또 이런 부동산자산에 대한 편중은 시간이 심화되고 있다.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8일 금융감독원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가계자산 중에서 부동산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3년 67.5%였으나 5년이 지난 2017년에는 69.8%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에 늘어난 가계자산 5천476만원 중에서 84%가 부동산자산이다.

부동산에 더해 자동차 등 기타 실물자산을 포함한 비금융자산 비중은 74.4% 수준으로 조사됐다. 이는 미국의 34.8%나 일본의 43.3%, 영국의 57.5% 등 주요국과 비교하면 크게 높은 상황이다.

특히 주택을 보유한 가구의 경우 부동산자산에 대한 편중이 더욱 심하다.

이들의 경우 자산 중 부동산자산의 비중은 5년 전보다 1.6%포인트 높아진 77.7%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기간 금융자산은 0.5%포인트, 기타 실물자산은 1.1%포인트 각각 줄었다.

대출도 함께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보유 가구의 빚 중에서 부동산담보대출 비중은 61.5%로 5년 사이에 1.0%포인트 증가했다.

부동산을 담보로 받은 대출금의 사용처 중 부동산 관련 용도도 2013년 62.8%였으나 지난해에는 76.5%로 급증했다.

이렇다 보니 부동산에 대한 선호의식도 해마다 커지고 있다.

소득이 늘고 여유자금이 생기면 부동산을 사겠다는 비율은 5년 만에 5.0%포인트나 늘었다. 반면 저축을 하거나 금융자산에 투자하겠다는 비율은 4.3%포인트, 빚을 갚겠다는 비율은 0.1%포인트 줄었다.

가장 중에서 여유자금이 생기면 부동산에 투자하겠다고 응답한 비율도 2013년에는 47.3%에 그쳤으나 지난해에는 56.0%로 증가했다. 집값 상승과 맞물려 부동산이 모든 시중 자금을 빨아들이고 있는 셈이다.

김 의원은 "이러한 결과는 부동산에 울고 웃는 한국사회의 현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며 "가계, 금융, 경제 등 사회 구석구석의 부동산 편중 현상을 개선해야 경제도 활력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ec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