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윤교 기자 = 한국 국채 시장이 발전하려면 단기 국고채를 도입하고 5·10년 국고채 선물을 활성화하는 등 상품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석원 SK증권 리서치센터장은 4일 기획재정부와 연합인포맥스가 공동으로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개최한 '제5회 KTB(Korea Treasury Bonds) 국제콘퍼런스'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최 센터장은 통안증권 시장이 1·2년 중심으로 형성돼 있어 이보다 더 단기인 국고채가 발행되면 정부의 이자비용 절감과 자산부채종합관리(ALM) 편의 증진, 위기 시 투자자 수요 대응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유동성 관리, 합리적인 변동금리부채권(FRN) 가격 형성 등의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또 현재 유명무실한 5년 국채 선물의 경우, 편입 채권 조정과 국고채 전문 딜러(PD)들의 유인 확대를 통해 활성화하면 헷지 효율성이 증대될 것으로 최 센터장은 전망했다.

30년 국채 선물의 도입에 관해선 장기 국채 수요처의 헷지 수단 부재는 분명하지만, 풍부한 유동성이 확보돼 적절한 가격이 형성될 수 있을지가 문제라고 봤다.

최 센터장은 시장제도나 관행이 더 한국 국채시장 발전의 걸림돌은 아니라고 봤다.

발행·유통시장, 기타 파생상품·대차 시장 관련 제도를 고려할 때 정부는 큰 시장 충격 없이 자금 조달이 가능하고 적정 금리 발견에도 어려움이 없다는 것이다.

다만 한국에는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이 없어 부동산 시장 집중 등의 부작용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또 보험·연금의 장기부채를 만족하게 할 원화 자산이 없어 고령화 사회의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꼬집었다.

장기금리는 장기 실질성장률 수준에 그칠 정도로 너무 낮다고 봤다.

최 센터장은 한국 국채시장이 1999년 국고채 첫 발행 이후 거래량 등 양적 측면에서 크게 성장했다고 진단했다.

최 센터장은 "현재 3·10년 국고채 선물과 이자율스왑시장, 대차시장, RP시장이 모두 활발하게 가격 발견 기능을 수행하며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 국고채 잔액은 2017년 말 기준 580조 원이고, 국채 전체로는 국민주택채권을 포함해 650조 원으로 GDP의 약 39%에 달한다.

한국 국채시장은 발행잔액 기준으로 미국·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는 못 미치지만, 아시아에서는 4위에 달한다.

최 센터장은 한국 국채시장의 위상을 높이려면 원화의 위상을 강화해야 하지만, 반대로 원화 국채시장의 활성화가 원화의 위상을 이끌 수도 있다고 봤다.

최 센터장은 "매력적인 원화 국채시장이 외국인 투자자를 끌어들이는 현상은 간접적으로 원화의 위상 강화에 도움이 된다"며 "특히 위안화 국제화 과정에서의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ygju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