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고유권 기자 = 금융연구원은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가 최소한 내년까지 지속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지만, 최근 이러한 기조가 내년에 중단될 필요가 있다는 견해가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고 밝혔다.

박해식 금융연 선임연구위원은 7일 '미국 금리 인상 지속에 대한 불확실성 확대' 보고서에서 "최근 제기되고 있는 미 금리 인상 지속에 대한 우려는 그만큼 글로벌 금융불안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미 연준은 2016년 1차례, 2017년 3차례, 2018년 3차례의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했고, 연방기금금리 목표구간은 2.00∼2.25% 수준으로 상승했다.

연준이 공개한 점도표 상 금리 인상 기조는 2020년까지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방기금금리는 3.4%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투자은행들도 연준이 올해 4분기 이후 내년 상반기까지 총 3회의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박해식 선임연구위원은 "미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가 올해 말까지만 지속하고 내년부터는 중단될 수 있다는 견해가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달 26일 현재 시카고상업거래소에 상장된 연방기금금리 선물의 내재금리를 고려하면 올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25bp 올릴 가능성은 79.2%에 이른다. 반면 내년 상반기 중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은 40%의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그러면서 내년에 금리 인상 기조가 중단될 수 있는 배경으로 네 가지 요인을 제시했다.

우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디레버리징을 통해 축소될 것으로 보였던 미국의 부채 규모가 오히려 사상 최대 수준으로 늘어나 지속적인 금리 인상 기조 땐 부채 상환 부담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발한 2008년 36조 달러 정도였던 미국의 부채 규모는 2016년 말 50조 달러에 육박한다.

아울러 미국 경제의 성장세 지속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과의 무역마찰이 장기화하면 미국의 성장세가 대폭 꺾일 것이란 우려가 있다는 점도 이유로 꼽았다.

중국의 대미 수출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로 수입 금액이 미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경우 소비세가 부과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이는 현재 시행 중인 1천억 달러의 개인소득세 감세조치의 경기부양 효과를 축소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내년에도 추가로 금리를 올릴 경우 연방기금금리가 FOMC 위원들이 추정하는 중립금리 수준인 2.875%에 도달해 수익률 곡선의 평탄화가 가속화해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가 역전될 수 있다는 점도 배경으로 제시했다.

과거 미국의 경우 경기둔화 또는 침체에 앞서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가 역전되는 경향을 보인 바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미 국채수익률의 장단기 스프레드(10년물-2년물)가 20b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볼 때 연준의 통화정책이 이미 중립적 영역을 넘어 긴축적 영역에 진입했다는 지적이 나온다는 것도 추가 금리 인상을 어렵게 하는 요소라고 꼽았다.

pisces738@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