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정부가 9·13 대책으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취임 이후 주택규제의 고삐를 더 죄었다. 1년째 이어지는 규제에 투자자들은 상가시장으로 이동하는 모습이다. 연말에 주택가격조정기 등이 오면 풍선효과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8일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을 보면 올해 하반기(7~8월) 오피스텔을 제외한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는 월평균 2천390호로 집계됐다.

상반기보다 4.1% 증가했다. 지난 8월에 1천899건으로 다소 위축됐지만, 7월에 2천881건으로 연중 최고를 기록했다.

서울에서 상가를 중심으로 한 상업업무용 거래를 주도하는 실정이다. 하반기 전국 월평균 상업업무용 거래(오피스텔 제외)는 1만5천701호를 나타냈다. 상반기에는 1만6천호를 넘겼다.

상업업무용 거래는 정부의 주택규제가 강해질수록 확대하고 있다. 작년 1분기에 오피스텔을 제외한 상업업무용 거래는 전국 4만2천247호, 서울 6천863호가 나왔다. 작년 4분기에는 전국 5만5천424호, 서울 8천823호로 증가했다. 전국적으로는 올해 들어 이 수치가 다소 줄었지만, 집값 급등과 함께 규제가 더해지는 서울은 부활하는 추세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잇따른 주택규제로 아파트 투자심리가 약해지면서 시중의 유동자금이 수익형 부동산으로 향하는 중이다"고 전했다.

자금이 상가 등으로 향하면서 매물이 공개되는 경매시장에서 가격변화도 감지된다. 상가정보연구소가 대법원경매정보의 매각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상가의 평균 매각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70.8%를 보였다. 전년보다 18.1%포인트 상승했다. 이전보다 올해 가격을 높게 부르는 참가자가 많아졌다는 뜻이다.

지난해 8·2 대책부터 올해 9·13 대책까지 1년 넘게 주택시장 규제가 강화하면서 자금 흐름이 옮겨가고 있다.

이상혁 상가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매년 상가의 평균 낙찰가율이 50%대에 그쳤던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이례적인 결과다"며 "반면, 아파트 매각가율은 작년에 91.4%로 정점을 찍었다가 올해 87.5%로 상승세가 한풀 꺾이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도 상가로 자금이 쏠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서울에서 주택 가격의 조정이 오면 쏠리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지만, 상업업무용 부동산도 옥석 가리기가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이 선임연구원은 "최근 9·13대책으로 다주택자 규제가 대폭 강화되면서 투자수요가 상가로 쏠리는 풍선효과가 더욱 뚜렷해질 가능성이 크지만, 상가 시장도 자영업 경기 불황과 공급 과잉 등 여파로 공실 위험이 커지고 있어서 입찰 전 신중한 조사와 판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