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투기과열지구 매매건 중에서 갭투자 56.1%



(서울=연합인포맥스) 황병극 기자 =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대책에도 지난달 서울의 투기과열지구에서 체결된 매수건 중에서 60% 정도가 '보증금 승계 후 임대'하는 이른바 갭투자인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지난달 자신이 입주하기 위해 주택을 구입한 비율은 36.6%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가 투기를 잡겠다고 규제를 내놓고 있으나, 현실은 갭투자나 임대용 매수와 같은 주택구입 비율만 늘고 실거주를 위한 매수는 여전히 많지 않다는 의미다.

김상훈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이 10일 국토교통부에서 제출받은 '투기과열지구 자금조달계획서 분석 현황'에 따르면, 8·2대책이 발표된 이후 1년간 서울의 투기과열지구에서 거래된 매수건 중에서 갭투자 비율은 지난해 10월 21.2%에서 올해 9월에는 무려 56.1%로 2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에 주거가 아닌 세입자를 들여 임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택을 구매한 비율도 31.4%에서 63.4%까지 치솟았다. 반대로 자신이 입주하기 위해 주택을 사들인 비율은 61.6%에서 36.6%로 감소했다.

결과적으로 지난달 해당 지역에서 이뤄진 주택매매의 2/3 정도가 실거주가 아닌 갭투자나 임대용 주택매수이고, 실거주를 위한 주택매매는 1/3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역별로는 성동(49.6%)과 용산(47.4%), 송파(45.2%), 강남(40.9%)의 경우 갭투자의 비율이 높았고, 금천이나 용산, 영등포는 전세를 끼지 않고도 임대를 주기 위한 용도가 높았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경우에는 보증금을 안고 거래하는 비율이 평균 70.8%에 달했다. 갭투자 또한 연평균 48.7%에 해당되고 지난 8월에는 10건의 거래 중 7건이 갭투자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 의원은 "1년 전 국토부는 투기수요를 막고 실수요자 중심으로 주택시장을 만들겠다고 했으나 허언이 됐다"며 "주거와 주택을 도덕적 관점으로 이해해서는 곤란한 만큼 투기가 아니라 투자의 양성화와 거래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ec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