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서울외환시장 참가자들은 미국 재무부가 우리나라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으로 관심을 옮겨 갔다.

다만 불확실성 해소에도 단기적인 위안화 약세 가능성은 있다고 봤다.

미국 재무부는 18일 우리나라를 환율조작국 또는 심층분석대상국으로 지정하지 않았다.

우리나라는 달러 순매수 개입 요건을 뺀 대미 무역흑자와 경상수지 흑자 항목에 해당해, 지난 4월에 이어 관찰대상국에 그대로 포함됐다.

서울환시 참가자들은 환율보고서 관련 이슈가 해소되면서 당장은 달러-원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봤다.

환율보고서 이슈가 끝나자마자 FOMC 의사록과 금통위 등 환시 이벤트가 부각됐기 때문이다.

그간 미중 무역 긴장 고조로 환율보고서에 대한 시장 관심이 커졌고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우려가 부각됐으나, 환율보고서 발표 직전 중국이 환율조작국에 지정되지 않을 것이란 기대가 강해져 가격에 선반영됐다고 봤다.

한 외국계은행 외환딜러는 "환율보고서 결과는 시장의 기대에 맞춰서 나온 것으로 보여 가격에 큰 영향이 없었다"며 "처음에는 보고서 결과에 따른 달러 강세 및 약세에 대해 전망을 했으나, 여러 시장 이슈들과 맞물리면서 환율보고서 이외의 가격 변수가 부각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른 외국계은행 스와프딜러도 "어제부터 중국이 환율조작국에 지정되지 않는다고 보고 리스크온에 따라 달러 매도가 활발했다"며 "우리나라와 중국의 환율조작국 이슈가 없다는 게 미리 반영됐다"고 말했다.

다만 환율조작국 이슈가 단기적으로 해소됐다고 해도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마찰이 이어지는 한 관련 긴장은 늦추기 어려워 보인다. 최근 3차례의 환율보고서 발표 이후 중국 위안화는 강세보다 약세를 기록했다.

그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이 환율을 조작하고 있다고 비난해온 데다 미 재무부 또한 중국에 '경쟁적 통화 절하(competitive devaluation)'를 해선 안 된다고 경고를 한 바 있다.

여기에 이강(易綱) 중국 인민은행장 또한 지난 14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 참석해 "통화정책 측면에서, 그리고 지급준비율 측면에서 충분한 통화정책 도구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필요하다면 (이같은 정책의) 조정 여지가 충분하다"면서 추가적인 완화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해 미중 무역전쟁의 장기화 가능성을 고조시켰다.

김두언 KB증권 연구원은 "불확실성 해소에도 단기 위안화 약세가 나타날 수 있다"며 "중국의 경기둔화 지속, 지준율 인하 등으로 미국과 장기 금리차 축소, 또 환율보고서 발표로 통화의 강세 압력이 소멸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syyo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