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창헌 기자 = 국내증시 참가자들이 촉각을 세웠던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여부가 '미지정'으로 결론 나면서 증시 반등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정부의 환율보고서 발표가 지연되면서 중국이나 한국이 환율조작국에 지정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일부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 재무부는 18일 10월 환율보고서를 냈다. 우려됐던 한국이니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은 없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과 일본, 인도, 독일, 스위스 등 6개국이 상반기 보고서와 마찬가지로 관찰대상국에 분류됐다.

이번 환율보고서에는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여부가 금융시장의 최대 관심사였다.

지난 3월 이후 중국 위안화가 약 10% 가까이 절하됐고, 미국이 인위적인 환율 절하로 중국이 대미수출을 확대했다고 주장하면서 불안 심리가 확산했다.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경우 양국간 무역을 포함해 경제 갈등이 격화할 것이란 우려도 나왔다.

글로벌 증시 전반의 조정 요인이 해소되면서 국내증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한지영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환율보고서에서 미 재무부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았다는 점은 무역 분쟁이 격화될 것이란 우려 등을 일정 부분 해소시켜 준 것"이라며 "우리나라와 중국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의 투자심리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이 중국의 환율 투명성과 위안화 약세에 대해 특별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미중 무역협상이나 위안화 약세를 둘러싼 영국간 갈등이 재차 격화할 수 있는 여지는 남게 됐다고 설명했다.

KB증권은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은 것은 11월 말 예정된 G20 정상회담을 염두에 둔 미국의 전략적 판단이라고 평가했다. G20 정상회담을 앞두고 굳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문정희 연구원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해 회담에 차질을 주는 행위 자체를 지양했다는 것만을 놓고 보면 중간선거 이후의 미국 트럼부 행정부가 이번 G20 정상회담에 거는 기대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방증한다"며 "그동안 논란이었던 미국의 중국에 대한 환율조작국 지정이 최종적으로 없었기 때문에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은 해소됐다"고 진단했다.

환율을 둘러싼 미국 정부의 중국에 대한 압박이 지속될 것이란 의견도 있다.

임혜윤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흑자 국가들의 통화가치 약세 유도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이번 환율보고서에서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된 국가는 없었지만, 무역분쟁이 지속되고 미국 무역적자가 줄어들지 않는 이상 환율조작국 지정을 압박 카드로 활용하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chha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