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0월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대외불확실성과 금융 불균형 상황을 좀 더 지켜보기로 했다.

한은은 18일 열린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1.50%로 동결했다. 기준금리는 지난 11월 1.50%로 인상된 후 11개월째 동결 기조가 유지됐다.

◇ 성장률 하향 조정 부담…경제 '지켜보기'

한은은 이날 발표할 수정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을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

이주열 총재는 지난 5일 "각 경제통계의 실적치로 미뤄볼 때, 성장과 물가 전망치가 다소 하향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올해 중 국내 수출은 대체로 양호한 흐름이 유지됐다. 미·중 무역분쟁, 신흥국 금융불안에도 선전한 셈이다.

지난달 수출은 506억 달러로, 5개월 연속 5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소비 지표도 나쁘지 않은 흐름이다. 소매판매는 지난 6월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한 뒤 두 달 연속 늘었다. 8월에는 7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경기 하강 위험을 높인 건 고용지표다. 고용이 외환위기 이후 최악 수준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5개월째, 선행지수는 3개월 연속 하락했다.

9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1.9%로 한은의 물가안정목표인 2%에 바짝 다가갔다.

다만, 수요측 압력을 의미하는 근원소비자물가는 1.2%로 낮은 수준이 유지됐다.

◇ 높아진 대외불확실성·내외금리 차 확대도 고려

높은 대외불확실성도 금리 동결의 이유다.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와 신흥국 금융불안도 한은의 통화정책을 신중하게 하는 재료다.

미 재무부가 이날 발표한 환율보고서에서는 한국과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지 않았다.

미 중간선거가 있는 11월까지는 불확실성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빨라진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에 신흥국 환율이 요동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진 것도 금리 인상 부담 요인이다.

최근 미국 채권 금리 상승은 주가지수 폭락으로 연결되기도 했다.

미국은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또 한 번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

12월까지 한은은 한 번의 금통위가 더 남아있다. 내외금리 차 확대를 막을 기회가 있다.

다음 금통위인 11월 말까지 대외불확실성의 전개 상황을 지켜보고 금리를 인상해도 늦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 한층 높아진 11월 인상 가능성…금융 불균형·내외금리 차

이주열 총재가 금리 인상 깜빡이를 유지한 만큼, 11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더 커졌다.

한은은 금리 인상의 근거로 금융 불균형을 내세우고 있다. 이 총재 역시 금융 불균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높여 금리 인상 시그널을 보냈다.

이 총재는 "소득증가율을 웃도는 가계부채로 금융 불균형이 누적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물가 목표 수준에 점차 근접해 간다는 판단이 선다면, 금융안정도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금융시장에서는 이 총재의 발언을 연내 금리 인상 시사로 해석했다.

내외금리 차 확대도 부담이다.

미국이 올해만 세 차례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한국과의 금리 격차는 75bp로 벌어졌다.

만약 한은이 연내 금리를 동결하고 미국이 12월에 금리를 올리면 내외금리 차는 100bp로 확대된다.

이 총재는 지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미국은 앞으로도 금리를 올릴 계획이기 때문에, 내외금리 차에 좀 더 경계심을 갖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11월 금통위까지 약 한 달 반 동안 나올 경제지표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고용과 물가 지표 개선 여부에 따라 금리 인상 기대감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