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대도 강수지 한종화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통화정책을 펴나가는 데 있어, 금융안정에 중점이 아닌 역점을 둬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18일 중구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통화정책 방향 결정문 가운데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신중히 판단하겠다'던 문장의 '신중히'가 빠진 배경을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기본적으로 통화정책은 거시경제 안정 위에 금융안정을 고려한다"며 "'신중히'라는 판단을 뺐는데, 금융안정에 중점을 둔다고 했던 단계가 이전보다 강화됐다"고 말했다.

그는 "물가와 경기 흐름에 대한 판단이 선다면 이전보다는 금융안정에 더 역점을 둬야 하고, 그럴 시점이 됐다는 뜻"이라고 재차 설명했다.

올해 성장률을 종전 2.9%에서 2.7%로 하향 조정했지만, 잠재성장률 수준의 견실한 성장세는 이어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다만 그는 이번 금리동결이 10월보다 11월이 더 유리하다는 판단이 배경이 된 것은 아니라며 이번에는 현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금융안정을 가장 우선순위에 둬야 할 상황이 온다거나 그게 우선시된다면 (금융안정을) 중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강력한 11월 금리 인상 신호를 보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기준 금리 인상을 주장한 금융통화위원은 이일형·고승범 2명이었다.

이 총재는 올해 경제성장률은 2.7%,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6%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내년 성장률은 2.7%,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7%로 예측됐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한층 높아졌기 때문에 기준 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키로 하되, 대외 리스크 요인이 전망 경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통방문에 물가의 '오름세가 확대되면서 목표 수준에 점차 근접할 것'이라는 문장이 빠진 것은 "이미 물가가 올랐기 때문에 과거의 표현을 이어가기 곤란하다고 봤다"고 말했다.

내외 금리 차가 확대되는 것에 대한 질문에, 이 총재는 "사실상 금융불안을 겪는 나라는 미국보다 금리가 훨씬 높다"며 "금리 차이가 금융불안의 주된 원인이라고 볼 수 없다"고 답했다.

9월 외국인 채권자금이 순 유출로 돌아선 것은 대규모 만기가 도래한 점과 북 클로징 등의 계절적 요인 때문이라며, 추세적으로 채권자금이 빠져나가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이 총재는 경기 정점이 지나 뒷북 대응일 수 있다는 지적에, "경기 정점에 대한 공식적이고 정확한 판단은 없는 상황"이라며 "또 통화정책은 경기만 보고 하는 것도 아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추가 금리 이상에 대한 질문에 이 총재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내년에 2회 인상을 해도 여전히 완화적이냐는 판단을 지금 말할 수는 없다"며 "중립금리도 보고 다양한 방법에 의한다. 예를 들어 2회 인상한다면 그 시점에서 긴축이냐 완화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ddkim@yna.co.kr

sskang@yna.co.kr

jhha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