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영 기자 = 코스닥 시장 활성화와 함께한 정지원 거래소 이사장의 취임 1주년이 10월 증시 충격에 난항을 겪고 있다.

주가 지수도, 상장 성과도 취임 전 수준으로 돌아가 야심차게 추진한 '코스닥 활성화'가 제대로 된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지수는 전일 699.30으로 마감해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으로 700선을 내줬다.

지난해 11월3일 정지원 이사장이 취임사에서 코스닥 시장에 모든 역량을 쏟아붓겠다고 밝혔던 날로부터 약 1년 만이다.

정 이사장은 지난해 취임사에서 "코스닥 시장이 창의와 혁신이 살아 숨쉬는 모험자본 조달의 산실로 확고히 자리 잡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며 "코스닥 시장의 투자 매력도를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코스닥시장 독립성을 제고하기 위해 조직과 예산 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직원의 업무처리 관행에 대해서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증시 여건은 녹록지 않았다.

코스닥 지수는 상반기 삼성바이오로직스에 시작된 회계 감리 이슈와 하반기 미중 무역분쟁의 충격을 고스란히 받았다.

감독당국과 함께 추진한 코스닥벤처펀드는 6개월 만에 10%에 가까운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였다.

유가증권시장도 무사하지 못했다.

외국인이 10월에만 3조원 넘게 주식 순매도에 나서면서 코스피는 종가기준으로 지난해 3월 이후 1년 7개월 만에 2,100선이 무너졌다.

기업 상장 실적도 부진했다. 신규상장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장일 기준 코스닥기업 상장은 47건이 이뤄졌다.

남은 두 달 동안 매월 10건 넘게 상장하더라도 2016년 70건, 2017년 78건을 크게 뛰어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코스닥 상장시가총액도 줄었다. 현재 기준 올해 코스닥 상장시가총액은 5조6천억원 남짓이다. 이는 지난해 18조9천억원의 3분의 1토막 수준이다.

코스닥 평균 상장자본금도 43억원으로 지난해 평균상장자본금 52억원에 못미친다.

코스닥 시장에서 잡음도 이어졌다.

거래소가 지난 10월 11곳의 코스닥기업에 무더기 상장폐지를 결정하면서 송사에 휩싸였다. 법원이 정리매매 중이던 일부 종목의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해 거래소가 정리매매를 중단하기도 했다.

코스닥 활성화를 전면에 내세웠으면서 정작 상장폐지 때는 다른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형식적 요건에 근거해 기업을 시장에서 퇴출함으로써 투자자 보호를 외면했다는 지적이 불거졌다.

코스닥 활성화의 부작용도 생겼다.

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가 12월 결산 한계기업 71종목 중 18종목에 불공정 거래 혐의를 적발했는데 이중 17종목이 코스닥기업이었다.

코스닥기업이 자본시장을 통해 자본을 조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는 정책을 역이용해 불공정거래 기업은 무담보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제3자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했다.

조달 자금은 운영자금, 타법인 증권 취득 등 비생산적인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거래소는 진단했다.

1년 전 정 이사장 취임 당시 호황에 가까웠던 코스닥 시장은 수렁에 빠져있다.

한 거래소 고위관계자는 "대외 여건이 악화했고, 해외 증시 쇼크가 컸다"며 "상장 건수로 보면 크게 줄지는 않았지만 금액 규모가 작년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데 올해 큰 기업 상장이 미뤄진 영향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성과를 보려면 긴 호흡으로 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거래소 안팎에서는 정 이사장이 위기에 취약한 코스닥 기업의 성격을 파악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코스닥벤처펀드에 투자한 거래소 직원들도 탄식을 금치 못했다.

한 거래소 직원은 "지난 1년간 발행시장으로는 별로 돈이 안 들어갔고, 자금조달도 바이오 기업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정말 돈이 필요한 중소기업은 소외된 측면이 있다"며 "코스닥시장은 외풍이 있을 때 체질이 허약한 중소기업으로 구성된 시장이므로, 거래소는 코스닥 활성화에만 집중하기보다 투자자 보호에도 적극 나서야 했다"고 말했다.

syju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