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한국은행이 이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뜻을 시사한 가운데 국내 부동산시장도 실제 금리인상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동안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뤄진 집값 폭등을 감안하면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지만, 최근 급격히 둔화되고 있는 국내 경기여건과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등을 고려하면 금리인상이 마냥 쉽지만은 않기 때문이다.

8일 채권시장에 따르면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오전 10시 현재 연 1.96%를 나타냈다. 3년물 금리는 10월 금통위 전인 지난달 8일 2.09%까지 올랐지만 29일 1.89%까지 떨어지는 등 2.00%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한은이 금리 인상 신호를 계속 내고 있지만 투자와 고용 부진, 주가 급락 등 금리 인상 환경이 좋지 않다는 금융시장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다.

그동안 급증한 가계대출과 이에 따른 집값 상승도 기준금리 인상의 필요성을 대변했다. 경기 대응도 중요하지만, 집값 폭등으로 대표되는 자산시장의 불안정 확대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최근 고용 부진을 대표되는 경기 둔화 우려도 한층 커지고 있다. 금리 인상 시 나타날 수 있는 이자부담도 적지 않은 것으로 추정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대출 금리가 2016년보다 1%포인트 오를 때 전국 가계의 평균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DSR)이 13.3%에서 14.4%로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전남, 충남의 DSR은 36.6%와 26.5%로 전국 평균을 2배 내외 웃돌아 금리 인상이 지방의 가계부채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DSR은 11.6%로 전국 평균에 못 미쳤다.

서울과 지방 집값의 양극화가 커지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은 자칫 지방 부동산시장을 더 침체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혀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019년 주택·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국 집값이 1% 넘게 하락할 것이라며 "지방은 거시경제 부진의 영향을 직접 받아 하락폭이 더욱 확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금융불균형의 중심축으로 부각된 주택시장은 정부 대책으로 단기적이나마 매수심리가 위축되고 호가도 조정되고 있다"면서 "대내외 경제 및 금융시장 여건을 고려할 때 한은의 추가 금리 인상을 뒷받침할 명분이 약해진다"고 지적했다.

hj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