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아시아서 가장 준칙에 가깝게 통화정책 운용"



(서울=연합인포맥스) 문정현 기자 = 노무라는 아시아 중앙은행들이 현 시점부터 내년 말까지 물가 상승 대응과 통화정책 정상화 차원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권영선 노무라 이코노미스트는 9일 발표한 '아시아 통화정책 행태 분석' 보고서에서 "내년 아시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둔화할 것으로 보이나 과거 1~2년간 이뤄진 내수 확대, 고유가, 환율 절하 등으로 물가 상승률이 내년에 후행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이 같이 예상했다.

그는 통화정책 정상화 차원에서 한국과 태국이 올해 11월과 12월에 25bp씩 금리를 올리고, 대만은 내년 12.5bp 인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필리핀과 인도네시아는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말까지 각각 100bp, 25bp 인상하리라고 예상했다. 다만 중국은 예외적으로 완화 정책을 펼 것으로 판단됐다.

권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내년 말까지 기준금리를 세 차례 인상하고 2020년에는 동결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아시아 중앙은행도 2020년에는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한국은 경제성장률이 잠재 수준 이하로 낮아지고 물가 상승률도 목표치를 밑돌 것으로 보여 2020년에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권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이 아시아에서 가장 준칙(rule-based)에 가깝고 경기 대응적인 통화정책을 운용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그는 테일러 준칙(Talor rule)을 응용해 아시아 중앙은행들이 성장과 물가, 환율, 국내 신용, 주택 가격 등의 변화에 어떻게 대응했는지 추정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권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은 경기 확장과 물가 상승 국면에 금리를 인상하고 반대의 경우 금리를 인하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밝혔다.

반면 중국과 대만, 말레이시아는 재량(discretion)에 가까운 정책을 운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해당 국가의 통화정책 운용 체계가 통화량 목표 혹은 명시적 중간 목표가 없는 형태를 유지해 물가 외 정책 변수를 많이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어 한국과 중국은 대체로 경기 대응적(counter-cyclical) 정책을 편 반면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은 대체로 경기 순응적(pro-cyclical) 정책을 써 온 것으로 평가됐다.

jhmo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