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김수현 청와대 정책실장과 한국은행의 과거 악연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김수현 실장이 청와대 정책비서관으로 근무하던 2006년 11월, 이례적으로 한국은행을 방문한 것이 금리 인상 압박으로 비친 적이 있어서다.

시장참가자들은 13일 김수현 실장의 과거 발언을 곱씹으면서 2기 경제팀과 한은의 관계를 가늠하고 있다.

김수현 실장은 2005년 8.31 부동산 종합대책 수립을 실무적으로 주도한 인물이다.

노무현 정부 당시 정부 관계자들은 부동산 안정을 위해 한은이 금리를 올려야 한다며 한은을 압박했다.

김수현 당시 청와대 사회정책비서관은 "금융이 부동산 시장을 불안하게 만든 새로운 악의 축"이라며 강경한 발언을 내놓았었다.

이 발언이 나온 일주일 후, 그는 당시 이성태 한은 총재를 만났다.

김 비서관은 "금리정책과 관련한 특별한 얘기를 하지 않았고 순전히 사적인 이야기만 나눴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당시 채권시장은 김 비서관이 한은에 금리 인상을 압박했다는 의혹을 떨어내기 어려웠다. 이 소식이 들리자 채권금리는 상승 반전하기도 했다.

한은은 이듬해 7월 기준금리를 25bp 인상했다.

2017년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잇달아 부동산정책을 내놓았다. 2017년 6월 19일 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강화를 시작으로 1년여 동안 8개 정책이 쏟아졌다.

부동산이 안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정부와 여당을 중심으로 금리를 올려 집값을 잡아야 한다는 의견이 끊임없이 제기됐다.

한은의 중립성이 훼손된다는 우려가 커졌다.

이를 두고 금융시장 안팎에서는 현 상황을 '2006년 데자뷔'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다만 김수현 실장이 속도와 균형을 강조하고 있어, 당장 특정 행보를 보이지는 않으리라는 의견도 많다.

김 실장은 지난 주말 "경제 환경이 달라지는 시점이다"며 "속도와 균형에서는 염려들이 있다. 지난 1년 6개월간 진행된 정책에 대해 자세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한 채권시장 관계자는 "김수현 실장이 임명된 후 속도와 균형을 언급했는데, 금리 입장에서 따지면 '호키시'한 건 아니다"며 "과거 사례가 있으니 적어도 이번 금통위 전에는 김 실장이 금리 관련해서 언급하지는 않으리라고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 금융시장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와 노무현 정부가 부동산에서는 닮은꼴이 많다"며 "한은에 직접 금리 인상을 주문하는 행태도 비슷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은의 중립성 훼손 우려는 이미 커졌는데, 김수현 정책실장이 2기 경제팀에 합류하면서 한은은 아무래도 부담스럽지 않겠냐"고 덧붙였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