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새로운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이 1년 유예되면서 국내 보험업계는 한숨 돌리게 됐지만, 대형·외국계와 중소형 보험사 간의 '온도차'는 뚜렷해질 전망이다.

14일 금융당국과 보험업계에 따르면 이날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는 영국 런던에서 이사회를 열고 IFRS17을 1년 연장해 2022년에 도입하기로 결의했다.

잇단 자본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어려움을 겪었던 국내 중소형 보험사의 숨통을 틔워준 것이다.

금융당국은 미래 현금흐름을 연산하고 이를 활용하는 IFRS17 회계시스템 2019년 말까지 개발·완료해야 한다고 시기를 정한 바 있다.

대형사를 포함한 주요 보험사는 IFRS17과 관련한 회계시스템 구축 등 이행 계획을 금융당국의 권고대로 이행하고 있지만, 일부 중소형 보험사는 자체계획 지연과 외부 계리·회계 인력 부족 등으로 시스템 개발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준비가 부족한 보험사는 행정지도를 통해 구체적 구축방안을 마련하도록 유도하고 진행 상황도 매월 모니터링하고 있다.

또한, 컨설팅사와의 계약파기, 내부 전산시스템 교체에 따른 개발 미착수 등 중대한 차질이 발생하면 양해각서 체결 등 비상계획을 수립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다만, 2021년 도입으로 준비를 진행하던 대형 보험사의 경우 기존 회계시스템과 IFRS17 관련 회계시스템을 동시에 1년 더 운영해야 하는 만큼 비용 부담이 커졌다.

대형 보험사의 한 관계자는 "1년 더 새로운 회계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지만, 두 가지 시스템을 동시에 운영하면서 비용 부담이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외국계 보험사의 경우 솔벤시Ⅱ 등 해외 본사의 기준을 이미 적용한 상황이라서 IFRS17 도입 연장이 희소식으로만 다가오지 않고 있다.

실제로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RBC)비율을 살펴보면 외국계 보험사가 더 높았다.

올해 6월 말 기준 푸르덴셜생명의 RBC비율은 432.3%에 달했고 BNP파리바카디프생명 360.5%, 라이나생명 321.1%, 처브라이프 305.2% 등으로 생명보험사 평균 263.3%를 훨씬 웃돌았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외국계 보험사는 이미 자산과 부채의 듀레이션 격차를 좁혀 IFRS17이 도입되면 지금보다 RBC비율이 더 높아지는 경우가 나올 수도 있다"며 "기업가치를 높일 기회가 1년 더 늦어진 것이라서 2022년 도입이 달갑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중소형 보험사 입장에서도 아쉬움이 있다"며 "시스템 구축과 전문 계리 인력 확보가 1년 사이 해결되기는 쉽지 않고 자본확충 작업도 계속 진행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yg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