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한종화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대외 충격에 따른 자본유출입 확대가 시스템리스크로 이어지지 않도록 경제 전반의 복원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금리 인상 신중론에 대해서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19일 한은이 국제결제은행(BIS)과 공동으로 개최한 콘퍼런스에서 "은행차입 의존도가 높으면, 대내외 충격에 롤오버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 금융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경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채권시장의 발달이 두 가지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먼저, 채권시장의 발달은 금리 중심의 통화정책 운영체계가 원활하게 정착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채권시장은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조정 효과가 실물경제로 전달되는 가장 중요한 파급경로 중 하나다"며 "기간별 채권금리를 통해 시장의 기대와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화정책 유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외국인 채권 투자가 많이 늘어나면서 외자유입 경로가 다양해진 것도 긍정적이다.

특히 외국인 자금의 상당 부분이 발행국가 통화표시 채권에 투자되고 있고, 장기투자 성향도 높아 안정성이 크게 확보됐다.

이 총재는 채권시장의 발달이 가져온 어려움도 있다고 언급했다.

외국인 투자자의 채권 보유 비중이 높아지면서 글로벌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됐다.

외국인 채권자금이 대규모로 유출될 경우, 금융·외환시장 불안이 확대될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

이 총재는 이런 상황에서 금융·경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경제 전반의 복원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외 충격으로 인한 자본유출입 확대가 시스템리스크로 이어지지 않으려면, 대외리스크 대응능력을 높여야 한다는 의미다.

경상수지 개선, 외환보유액 확충, 환율 유연성 확대 등을 노력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금융안전망 확충을 위한 국제공조를 이어가야 한다고 이 총재는 말했다.

그는 아태지역이 현재 실행하고 있는 금융안전망 강화뿐만 아니라 국제통화기금(IMF), BIS 등 국제기구와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등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총재는 "채권시장 투자자 다변화, 회사채 시장 활성화, 발행·유통 제도 선진화 등 시장의 구조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채권시장의 규모와 유동성을 확대함으로써 역내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높여나갈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