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이달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내년 주택구입여력이 동북아국가 중에서 유일하게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주택금융과 관련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8일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과 중국, 일본, 싱가포르의 여건을 분석한 결과 "내년 한국의 '주택구입여력(Housing affordability)'이 소폭 악화하고 나머지 국가는 대체로 안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무디스는 기준금리가 1.0%포인트 오르고 주택가격이 10.0% 하락하며,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10.0%p 낮아지는 상황을 가정해 이같이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때 한국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은 23.1%로 중국(37.8%)에 이어 두 번째로 높고, 중국과 함께 대도시의 원리금 상환액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빈센트 토르도 무디스 애널리스트는 "주택구입여력이 나쁘거나 악화하면 주택담보대출 연체나 부도 가능성이 커져 주택담보대출담보부증권(RMBS)과 커버드본드도 부실화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금리 인상 때 가계 전반의 대출상환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이며, 특히 저소득층인 취약차주의 짐은 더욱 무거워질 수밖에 없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릴린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관리지표 도입 등으로 전반적인 시스템 리스크가 완화됐지만, 외부 충격 시 취약차주에 대한 리스크가 전반적인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은행에 따르면 대출을 받은 가구 중 소득 5분위의 고소득층 총부채상환비율(DTI)은 173.5%였으나 1분위 저소득층 DTI는 이보다 2배 이상 높은 427.2%였다.

한국은행 집계 결과 취약차주의 비은행 및 신용대출 점유 비중은 2분기 말 현재 각각 65.5%, 43.1%로 비취약차주(41.5%, 23.6%)를 웃돈다.

한은은 지난달 국감에 앞서 낸 '2017년도 국감 시정 및 처리요구사항에 대한 조치결과 상세보고서'에서 "변동금리 비중이 높은 비은행과 신용대출을 상대적으로 많이 보유해 금리 상승시 채무상환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hj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