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부동산 관련업계인 건설업과 부동산업의 대출액이 상반된 흐름을 보인다. 은행들이 담보대출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다시 짠 데다 저금리 상황에서 수익률을 좇는 투자자들이 부동산업으로 몰린 탓으로 풀이된다.

6일 한국은행의 '2018년 3분기 중 예금 취급기관 산업별 대출금'에 따르면 건설업 대출은 올해 3분기에 8천억원 늘어 41조1천억원으로 집계됐다.

건설업 대출잔액은 지난 2008년 약 70조원에서 계속 주는 모양새다.





이런 변화는 은행권의 달라진 여신기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최정욱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 몇 년간 은행 대출이 담보대출 위주로 재편됐다. 모든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 소호대출 비중이 크게 상승했고 무담보인 대기업대출과 제조업 위주의 순수 중소기업대출은 비중은 줄었다"고 설명했다.

은행이 건설사 재무상태에 보수적으로 접근한 데다 건설업체들이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은행 여신은 물론이고 채권 발행을 줄이면서 건설업의 부채비율은 지난 2015년에 131.8%에서 2017년 110.8%로 낮아졌다.

반면 부동산업 대출은 2014년부터 급증세로, 지난 3분기에만 8조9천억원 늘며 잔액이 224조9천억원에 달했다.

여기에 주담대는 가계부채 증가를 주도하고 있어 정부의 골칫거리이기도 하다.

한은의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를 보면 적지 않은 전문가들이 '가계부채 누증', '부동산시장 불안정'이라는 리스크 요인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대출규제 등으로 금융 안정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어 부동산업 대출 증가가 위기로까지 비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최정욱 연구원은 "앞으로 경기 둔화가 이어지면 은행의 대손 비용이 늘어날 수 있지만 현 상황은 조선업, 부동산 PF 등 특정 부문 여신이 부실해 발생한 금융위기 때와 다르다"며 지난 수년간 주담대가 금융당국의 관리하에 있었고 전세자금대출도 보증서 담보대출로 신용위험이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hj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