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청와대가 자동차산업 전문가를 일자리기획비서관으로 선임하는 것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자동차 산업 전반의 어려움에 차 부품업체의 경영난도 가중되면서 일자리 상황이 더욱 나빠질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산업과 일자리를 동시에 고려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10일 정부와 국회 등에 따르면 청와대는 기획재정부 2차관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호승 현 일자리기획비서관의 후임으로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을 검토 중이다.

이 연구위원은 워싱턴대학에서 국제경영학으로 경영학 석사(MBA) 학위를 받은 자동차산업과 기업 간 협업, 거래구조 전문가다.

차세대 성장동력사업 최종 성과 평가위원장과 대중소기업협력재단 협업연구회 회장, 한국자동차산업학회 부회장, 경제자유구역 자문위원, 그린 카 정책포럼 정책 및 제도 분과 위원, 중견기업학회 부회장, 미래성장동력 스마트카 분과 그린카 R&BD 전략 기획단 위원 등을 역임했다.

청와대가 정통 관료 출신이 아닌 자동차 산업 전문가를 일자리기획비서관에 앉히는 것을 검토하는 것은 일자리 유발계수가 높은 자동차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측면이 크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 기준 경제활동인구 100명 중 최소 2명이 자동차 산업에 몸담고 있다.

하지만 올해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로 한국GM과 자동차 부품업계에서 약 1만여 명이 실직한 것으로 추산되는 등 산업 황폐화는 곧바로 일자리 악화로 이어진다.

한국GM 군산공장 폐쇄에 더해 현대차의 실적마저도 뒷걸음치면서 연관 부품업체들의 경영난은 가중되고 있다.

내년에 글로벌 자동차 수요가 둔화하면서 자동차 산업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수 있다는 점은 부담이다.

특히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의 경우 이미 올해 4분기부터 수요가 급격하게 꺾이고 있다.

이항구 연구위원은 전반적인 자동차 시장의 수요 감소와 더불어 자동차 산업계의 불공정 하도급 거래 문제가 산업 전반의 붕괴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지목하기도 했다.

아울러 자동차 산업계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중·소 기업 간 상생 정책을 강하게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정부와 여당이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광주형 일자리 모델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광주형 일자리의 성공 확률이 낮다면서 공장 설립에 투입할 자금으로 구조조정에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을 일관되게 해 오고 있다.

mr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