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진정호 기자 = 유럽중앙은행(ECB)이 이달 말 종료하기로 한 자산매입 프로그램이 지난 4년 가까이 시행되면서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물가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지만 한편으론 국가 간 성장 격차를 낳기도 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ECB는 지난 2015년 3월부터 새로운 양적완화 프로그램을 도입해 지금까지 약 2조6천억유로(약 3천320조원) 규모의 자산을 매입했다. 이 프로그램의 핵심 목표는 다른 주요 중앙은행의 양적완화와 마찬가지로 디플레이션 리스크를 낮추고 물가상승률을 2% 수준으로 회복시켜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WSJ은 "그런 점에서 ECB 자산매입의 성과는 혼재됐다"며 "물가가 안정적으로 올랐고 유로존 경제도 매입 정책이 도입됐을 때보다 더 탄탄한 발판을 마련했지만, 독일은 평균 이상으로 성장한 반면 이탈리아는 뒤처졌다"고 진단했다.







마찬가지로 유로존 전반적으로 실업률도 지난 몇 년간 낮아졌지만 유로존 회원국 간 실업률 편차는 더 벌어졌다. 미국과 비교하면 유로존 전반적인 실업률 또한 여전히 높은 상태다.







인플레이션 면에선 ECB의 자산매입 정책이 분명히 성공적이었다. 유로존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015년 초 하락하고 있었지만 이제는 ECB의 연율 목표치인 2% 근방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회원국 전반에 걸쳐 오르고 있다.







물가와 경제성장률 외에 ECB의 양적완화 정책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영역은 유로화 환율이다. ECB가 채권을 매입하기 위해 유로화를 대규모로 신규 발행하면서 달러화 대비 유로화 가치가 하락하게 됐고 독일 등 수출주도형 국가는 반사이익을 누렸다.

최근 ECB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자산매입 프로그램으로 유로-달러 환율이 1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WSJ은 "ECB의 자산매입 정책으로 유로존 국채 스프레드(금리 격차)도 좁혀졌지만 최근 독일과 이탈리아 등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스프레드는 다시 확대됐다"며 "ECB가 2조6천억유로 규모로 자산을 매입했더라도 정치적 민감도는 여전히 수익률 곡선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jhji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