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예원 기자 = 북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휴대전화 보급이 늘어나면서 북한에 모바일 결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부소장은 금융연구원이 19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주최한 '대북제재 완화 이후 남북경협 활성화를 위한 금융의 역할' 세미나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금융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만큼 북한이 주민 생활의 향상과 관련한 실생활형 금융 체계 도입을 모색 중"이라면서 "그 중에서도 휴대폰 확산과 연계한 모바일 금융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 부소장에 따르면 북한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약 600만 명이다. 평양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20~50대의 휴대전화가 가입률은 50~70%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지능형 손전화기'로 불리는 스마트폰도 지난 2013년 출시됐다. 중국 부품을 수입해 자체 조립생산한 상품으로 상품 종류만 20여종이다.

옥류, 만물상 등 인트라넷 쇼핑몰을 통한 모바일 쇼핑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조 부소장은 모바일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임에도 결제 인프라는 여전히 열악하다고 지적했다.

북한 주민들은 사용 대금을 결제하거나 추가 사용을 위한 충전을 하기 위해서 통신국이나 지정소에 직접 방문해야 하는데, 평균 이동거리가 20~30km에 달한다.

조 부소장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공항, 기차역, 주요 건물 등에 통신요금을 납부할 수 있는 은행 자동화기기(ATM) 설치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조 부소장은 모바일 결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정책적 과제를 제안하기도 했다.

초기 주요 거점에 ATM기기를 설치해 요금을 납부할 수 있는 결제망에 적합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망을 구축하는 방안이다.

조 부소장은 ATM기기의 경우 약 2만 대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밖에 북한의 모바일 금융 도입을 위한 4단계 구상도 내놨다.

우선 공항과 기차역, 상점, 주요기관 등 주요 거점에 ATM기기를 설치해 통신요금을 납부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2단계는 앱 기반 통신 요금 송금으로, 모바일에 설치된 은행 애플리케이션의 은행 계좌를 통해 통신요금을 납부하는 방식이다.

통신요금뿐 아니라 모바일 결제시스템 기반의 금융거래가 확대될 수 있도록 모바일 결제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장차 앱 결제, 송금, 전자상거래부터 대출까지 가능한 모바일 종합금융으로 발돋움하겠다는 구상이다.

조 부소장은 "중장기적으로는 한반도 금융·통신망 설계가 필요하다"면서 "법과 제도, 기술과 인력 양성 등과 관련한 단계적 통합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ywkim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