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최정우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25bp 인상한 가운데 국내 증시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집중된다.

12월 금리 인상이 예상됐던 만큼 국내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지만, 기대보다 덜 완화적인 기조와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 표명이 불확실성을 지속시킬 것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 연준은 19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며 기준금리를 2.25~2.5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연준은 점도표를 통해 내년 금리 인상 횟수를 두 차례로 제시했다. 기존 연간 세 차례 인상 전망이 하향 조정됐다.

연준 위원들은 내년 말 금리 중간값을 2.8%로 예상했다.

지난 9월 위원들이 예상한 내년 말 금리 중간값은 3.1%였다.

통화정책 성명서에서는 '일부(some)' 추가적인 점진적인 금리 인상이 경기 여건과 부합한다고 밝혔다.

당초 추가적인 점진적 금리 인상이 경기 여건과 부합한다고 했지만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해 '일부(some)'란 단어를 추가했다는 해석이다.

연준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예상치를 기존 3.1%에서 3%로 낮추고, 내년 성장률 예상치 역시 2.5% 증가에서 2.3%로 하향 조정했다.

하인환 SK증권 연구원은 "최근 주식시장이 부진한 이유는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 때문으로,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전망이 하향조정되면서 나오는 완화적 시그널은 최악의 시나리오가 될 수 있다"며 "금리인상 횟수에 대한 조정보다는 경제전망이 상향조정(또는 현 수준 유지) 되는 것이 증시 반등을 이끄는 조건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경제전망이 하향조정되면서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지 못한 것이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허재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올해 10월까지 국내 증시가 미국 금리 급등과 함께 하락했다면 11월부터는 금리가 빠져도 반등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며 "통화정책 우려보다는 경기 둔화 우려가 크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허 연구원은 "통화정책에 대해 예상된 결과가 나오면서 오히려 중국과 우리나라 같은 제조업 국가는 매크로 펀더멘탈에 대한 우려가 심화될 수 있으며, 전일 뉴욕증시가 연준의 덜 완화적 기조에 급반락한 점도 국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jwchoi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