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 평화와 경제를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신년사에서 처음으로 '완전한 비핵화'를 육성으로 언급하며 북미·남북 관계 개선에 강력한 의지를 보였지만, 대북 압박이 이어질 경우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다고도 언급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에 화답해 김 위원장과 만남을 고대한다고 전했지만,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개념 차이가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북한 리스크는 언제든 변수로 떠오를 수 있다.

8일 연합인포맥스와 채권시장에 따르면 그동안 국내 금융시장은 북한을 둘러싼 이슈를 큰 변동성 재료로 받아들이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수차례의 핵실험과 미사일(로켓) 발사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개성공단 가동 중단, 천안함 및 연평도 포격 사건 등 역사적·정치적으로 굵직한 사건이 있었지만, 국내 채권시장이 크게 동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 10년간 국내 채권시장이 북한 이슈에 의미 있게 동요한 경우는 2010년 11월 23일 북한이 연평도 부근에 수십발의 해안포를 발사했던 사건이 거의 유일하다.

당시 북한의 대남도발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서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그날 하루에만 7.0bp 상승했다.

그러나 다시 하루 만에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8.0bp 하락하며 제자리로 돌아왔다.


 

 

 

 


<지난 10년간 국고채 10년물 금리 추이(단위:%)>



지난 2017년 7월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성공을 발표한 당시 국내 투자자들의 동요는 크지 않았지만,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채선물을 매도하면서 몇 달간 북한이 주요 리스크로 부각되기도 했다.

특히 이 시기에 북한 리스크가 지속했던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로에 대한 경고와 비난을 이어간 영향이 컸다.

북한 리스크는 국내 금융시장에서 완전히 무시할 수 없는 블랙스완이다.

블랙스완이란 발생할 가능성은 적지만 발생할 경우 극심한 충격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예외적인 사건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예로 영국의 유로존 탈퇴(브렉시트)와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등이 있다.

시장 참가자들은 ▲북·미 대화가 난항을 겪는 가운데 다시 대결 구도로 돌아설 경우 ▲북한이 과거처럼 대화를 거부하고 핵시설을 복구하는 경우 ▲북한이 영해가 아닌 영토에 미사일 도발을 하고 미국이 이에 군사적 응징을 가하는 경우 등은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추정했다.

자산운용사의 한 채권 운용역은 "북한 리스크는 반복된 학습효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 리스크가 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며 "다시 핵이나 미사일을 쏘는 경우 변동성 요인이 될 수 있는데 기존처럼 영해에 날리는 경우 영향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천안함이나 연평도 포격 사건처럼 인명 피해가 날 경우 외국인이나 국내 투자자의 심리를 흔들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주한 미군 방위비 분담을 둘러싸고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 미군 철수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할 때도 한반도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

또 다른 자산운용사의 채권 운용역은 "최근 이라크 주둔 미군 철수가 시작됐는데 주한 미군 완전 철수는 아니겠지만, 방위비 이슈로 일부 철수를 감행할 수 있다"며 "핵 협상 마찰로 북미 관계가 악화할 가능성도 시장 불안 요소다"고 전했다.

반면, 철도사업이나 개성공단 재개 등 경제협력 확대는 원화 자산에 대한 신인도 제고에 도움이 될만한 재료다. 또한,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급진적으로 통일이 되는 경우도 상상할 수 있는 경우로 꼽혔다.

이 운용역은 "남북 철도와 도로를 연결하는 착공식 등 점진적으로 경제적 개방이 확대될 경우 등 긍정적인 요인도 생각해볼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그 경우 금리에 큰 영향을 미치긴 어려울 것이다"고 전했다.

ssk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