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혁신기업을 장기간 지원할 수 있는 인내자본을 활성화하려면 정부 주도의 투자기구를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노형식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3일 '혁신성장을 위한 인내자본 투자기구 도입' 보고서에서 "인내자본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가 유동성 공급자로 참여하는 투자기구를 구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내자본은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안목으로 투자와 대출을 공급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기업 성장단계에서 장기 시계를 갖는 자본의 의미로 많이 일컫는다.

실제로 영국은 지난 2017년 인내자본을 위해 영국산업은행의 자회사로 영국 인내자본을 지난해 상반기 출범시켰다.

우리나라도 금융당국이 기업의 창업, 시행착오, 재창업을 통한 성장을 강조하면서 인내심 있는 자본의 역할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국내에서 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투자된 모험자본들은 기업의 성장 단계별로 살펴봤을 때 창업 초기 단계에 지원되는 경우가 부족했다.

노 연구위원은 "인내자본이 기업 성장단계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투자되는 경우 투자원금과 투자성과 회수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 크기 때문에 민간 자본 단독으로 인내자본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장기적인 비유동 자산인 투자대상 기업에 자금을 묶어 둬야 하는 인내자본의 성격상 민간 자본이 인내 자본에 투자하더라도 그 비중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이에 인내자본을 활성화하기 위해선 정부 주도로 투자기구를 구성하되, 정부가 민간 투자자의 참여 유인을 높여가야 한다는 게 노 연구위원의 주장이다.

그는 "정부의 관점도 단기 투자실적 위주에서 탈피하고 일관성과 장기적인 안목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인내자본 투자기구에 대한 민간투자 참여는 우선 보험사 등 장기자산 수요를 흡수하는 형태로 출발해야 한다"며 "이후 개인투자자의 참여 여부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jsjeo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