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월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지난번 금리 인상에 대한 효과를 지켜보기로 했다.

한은은 24일 열린 금통위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1.75%로 동결했다. 지난해 11월 1.75%로 인상된 후 3개월째 동결 기조를 보였다.

◇ 올해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가능·물가도 하향

한국은행은 이달 금리를 결정하면서 수정경제전망을 내놓는다. 금융시장에서는 한은이 올해 성장률을 소폭 하향 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은 지난해 10월 올해 우리 경제가 2.7%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주열 총재는 올 초 신년사 등에서 대내외 불확실성을 강조했다. 그는 "경제가 안 좋으면 마음이 좋지 않은데, 우호적인 게 별로 없다"고 말했다. 국내 경기의 하방 위험을 우려한 셈이다.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의 수출은 전년 대비 마이너스(-) 14%를 기록했다. 우리 경제를 이끌었던 반도체 업황 부진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올해 소비자물가 전망치가 하향 조정될 가능성은 매우 크다. 이 총재는 "올해 소비자물가가 10월 전망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 소비자물가가 당초 전망치였던 1.7%에서 하향 조정된다는 의미다.

◇ 금리 인상으로 금융 불균형 완화 기대…효과 지켜보기

한은이 지난번 기준금리를 인상한 이유는 금융 불균형이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조정이 이뤄졌기 때문에 금융안정 측면에서는 불균형을 축소하는 데 분명히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강도 높은 부동산 대책이 더해지면서 금융 불균형 해소 기대가 크다.

다만 가계대출 증가세는 쉽게 꺾이지 않았다.

한은은 12월 중 가계대출이 5조4천억원 늘었다고 밝혔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은 비수기임에도 4조9천억원 늘어났다. 아파트 입주 물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정부는 최근에도 주택시장 과열을 막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정부의 규제와 한은의 통화정책이 금융 불균형을 얼마나 해소할 수 있을지 살펴볼 시간이 필요하다.

◇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미·중 무역분쟁 주목

이 총재가 주목하는 부분은 대외 변수다.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하면서 한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가시화하고 있다.

무역분쟁이 장기화하면서 중국 경제지표가 악화했다. 지난해 중국 성장률은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중국 정부는 다급하게 경기부양책을 내놓기도 했다.

중국의 경기둔화가 글로벌 경제지표 하락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 미 연준 금리 인상 속도가 관건…한은 추가인상 시기 가늠

향후 한은의 통화정책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에 달려 있다.

내외금리 차 확대는 잠재리스크를 키운다. 글로벌 환경이 안정적일 때는 금리 차 확대가 무의미하지만, 불확실성이 커질 때는 급격한 자본유출로 연결될 수 있어서다.

미 연준은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하겠다고 언급했다.

한국 경제 둔화 우려가 큰 상황에서 미국 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한다면, 한은은 국내 경제 펀더멘털에 집중할 여지가 생긴다.

이 총재는 "미국 금리 인상이 늦춰지면 시장안정 측면에서 긍정적이다"며 한국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한은은 현재 기준금리가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소득 증가속도 수준으로 줄어들지 않다면, 추가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스탠스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