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병극 기자 =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2000년 이후 한국의 가계소득이 2.37배 증가하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6위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한경연은 28일 발간한 '가계소득 vs 기업소득 5가지 쟁점 분석' 보고서를 통해서 "한국의 가계소득은 지난 2000년 428조원에서 2016년 1천16조5천억원으로 2.37배 늘었다"면서 이같이 진단했다.





이는 한경연이 OECD 27개국 GNI 기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전체 소득에서 가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고 기업소득 비중이 증가하면서, 가계소득이 크게 부진하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나 실제 가계소득 자체는 다른 OECD 회원국에 비해서 더 많이 증가했다는 지적이다.

이 기간 가계소득이 가장 많이 늘어난 나라는 라트비아로 3.74배 증가했다. 반면 일본은 0.96배 늘어나 가계소득이 2000년 대비 오히려 감소했다. 이 기간 가계소득 증가 배수의 OECD 평균은 1.93으로 조사됐다.

한경연은 가계소득 증가는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보다 경제 전체의 성장이 중요하다면서, 가계소득 비중의 평균이 높은 나라일수록 가계소득 증가 배수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분석했다.

평균 가계소득 비중이 78.9%로 1위인 미국의 가계소득 증가는 2000년 이후 1.77배로 OECD 평균인 1.93배에 못 미친 반면, 평균 가계소득 비중이 52.6%로 가장 낮은 노르웨이의 가계소득은 2.28배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전체 소득에서 가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61.7%로 OECD 22위였다.

2016년 한국의 가계소득 비중은 지난 2000년 대비 6.1%포인트 줄어 OECD 평균인 2.8%포인트보다 더욱 큰 폭으로 줄었다. 그러나 2010년 대비로는 OECD 평균이 0.7%포인트 감소했으나 한국은 1.4%포인트 늘었다고 한경연은 진단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주어진 파이의 몫을 더 많이 차지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성장을 통해 파이 자체를 키우면 가계가 나눌 수 있는 몫이 커진다"면서 "가계소득이 실제로 늘어나려면 심화되고 있는 우리 경제의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ec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