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국내총생산(GDP) 증가율과 체감경기의 온도 차가 커지는 이유는 세대 간 실업률 격차,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가동률 격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단순한 경기적 요인뿐만 아니라 구조적 요인도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다.

김형석 한국은행 조사국 거시재정팀 차장은 11일 '경제 내 상대적 격차에 따른 체감경기 분석(조사통계월보 1월호)'이란 논고에서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상대체감지수와 GDP 증가율 간 괴리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논고는 GDP 증가율이 경제 전체의 평균적인 소득수준의 변화는 잘 나타내지만, 경제주체의 개별적인 상황에 대해 고려가 부족하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경제 내 상대적 격차의 변화를 반영하는 거시경제지수를 이용해서 상대체감지수를 추정했다.

상대체감지수는 업종별 생산격차, 기업 규모 간 가동률 격차, 소득 격차, 생활물가 격차, 실업률 격차 등 다섯개 변수를 가중평균했다.

상대체감지수는 금융위기까지는 대체로 GDP 증가율 등 거시경기변수와 유사한 움직임을 보였다. 2014년 이후 괴리가 확대됐다. 상대체감지수는 지속해서 하락했다.









논고는 세대 간 실업률 격차,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가동률 격차 확대가 상대체감지수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진단했다.

반면 생활물가 격차는 금융위기 이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김 차장은 "상대체감지수의 하락이 단순한 경기적 요인이 아니라 경제에 누적된 다양한 구조적 요인에 기인한다"며 "경제주체 간 격차 축소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청년층 고용여건 개선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균형 발전, 미래지향적 산업구조조정에 의한 업종 간 생산격차 완화 등을 통해 격차를 줄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