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 =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를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한국은 중국에 집중된 수출산업의 다변화, 수출과 내수의 균형성장이 절실하다는 주문이 이어졌다.

신광철 롯데미래전략연구소 상무는 14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2019 G5 경제전망과 대응' 세미나에서 "한국경제가 무역전쟁으로 야기된 보호무역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통상전략의 재정비, 글로벌 시장 다변화, 내수와 수출의 균형적 성장전략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에 집중된 수출산업을 다변화해 집중에 따른 리스크 요소를 줄일 필요가 있다"며 "지난 2010년 이후 중국에 대한 높은 수출의존도로 한·중 간 경기 흐름이 동조화되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인도와 같이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규시장에 대해 정부가 ODA 자금을 지원하고 민간 기업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형태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액은 홍콩을 포함할 경우 총 수출규모의 30% 이상이기 때문에 그 영향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미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캐나다·멕시코·독일·일본·영국 등과 공조해 자동차·기계·ICT 산업에서 자유무역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통상부문의 국제적 공조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신 상무는 "수출과 내수의 균형적 성장을 통해 보호무역주의와 같은 대외 리스크의 영향을 낮출 필요가 있다"며 "글로벌 무역환경 악화로 수출이 급감하더라도 내수산업의 진작을 통해 성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산업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AI, IOT, 빅데이터 등의 기술을 활용해 소비나 니즈를 충족시키는 서비스혁신은 내수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남훈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도 미·중 통상분쟁에 대응하기 위해 시장 다변화와 생산기지 이전, 현지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은 "수출 신시장 개척과 중·미 중심에서 동남아 등으로의 시장 다변화가 필요하다"며 "소비 시장이 큰 관세부과 예외지역으로 생산기지 이전이나 국내 회귀 등 공급사슬 재편을 통한 수출 우회 전략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부품생산의 현지화가 진행되면 수출액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작년 베트남 수출이 부진한 이유도 이런 수출방식에 기인했다"며 "향후 수출 증가를 위해서 소비재 수출 등 보다 현지화된 시장공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미중 통상전쟁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미중 통상전쟁이 주는 타격은 직간접적으로 우리 경제 및 산업에 부정적인 효과가 불가피하다"고 봤다.

mj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