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위 명목소득 10.4% 증가…최하위 계층은 17.7% 급감

소득 5분위 배율 5.47배…4분기 기준 통계작성 이후 최대

통계청 "고용악화가 저소득층 소득 감소 요인"









(서울=연합인포맥스) 고유권 윤시윤 기자 = 최악의 고용 한파로 저소득층의 삶이 더욱 팍팍해지면서 작년 4분기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소득격차가 4분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지만, 고소득층의 지갑은 더 두툼해졌지만, 저소득층의 벌이는 더 나빠져 소득 양극화는 더욱 심화하는 양상이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4분기 소득부문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소득 최하위 20%(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2인 이상 가구)은 123만8천200원으로 1년 전보다 17.7% 감소했다.

통계작성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작년 1분기 8.0%, 2분기 7.6%, 3분기 7.0%로 감소 폭이 완화되는 추세였지만, 4분기에 더욱 확대됐다.

근로를 통해 벌어들인 근로소득은 43만500원으로 1년 전보다 36.8% 급감했다.

이 역시 통계작성 이후 역대 최대폭의 감소이며, 전분기 감소 폭이 22.6%였던 것과 비교해도 악화 정도가 심화했다.

자영 사업 등을 통해 얻는 사업소득은 20만7천300원으로 8.6% 줄었다.

다른 가구나 정부 등으로부터 받는 소득인 이전소득은 11.0% 증가했다.

전분기에도 19.9% 증가했는데 정부의 재정 등을 통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다는 점을 고스란히 보여줬다.

이에 반해 최상위 20%(5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932만4천3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10.4% 늘었다.

5분위의 지난해 명목소득 증가율은 1분기 9.3%, 2분기 10.3%, 3분기 8.8% 등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이처럼 최상위와 최하위 가계의 명목소득 차이가 더욱 벌어지면서 소득 5분위 배율은 5.47배로 벌어졌다.

4분기 기준으로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후 역대 최대다.

박상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에 대해 "작년 4분기 상용직은 34만2천명 증가했지만, 임시직은 17만명 감소했다"며 "고용시장이 악화한 것이 큰 요인이다"고 설명했다.

박 과장은 "1분위 가구의 무직자 비중은 55.7%로 전년의 43.6%에서 크게 증가했고, 자영업자 비중은 오히려 13.7%에서 15.9%로 늘었는데, 자영업자 상황이 악화하면서 2분위에서 1분위로 내려앉았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2분위 내 자영업자 비중은 2017년 4분기 24.4%였지만, 작년 4분기에는 19.3%로 5%포인트 가까이 낮아졌다.

소득 하위 20∼40%(2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277만3천원으로 4.8% 줄었고, 3분위와 4분위 가계는 각각 1.8%와 4.8% 증가했다.

근로소득은 1분위가 역대 최대로 감소했지만 2분위(0.4%)는 소폭이나마 늘었다.

사업소득은 1분위와 함께 2분위(-18.7%), 3분위(-7.0%)도 모두 줄었다.

음식·숙박업과 도소매업에 종사하는 자영업자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3분위의 경우 근로소득은 늘었어도 사업소득이 줄면서 자영업 부진 상황을 반영했다.

소득에서 세금이나 사회보장금기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은 1분위와 2분위가 각각 19.5%와 5.3% 줄었고, 3분위 이상에서는 모두 증가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재산소득, 사적이전소득을 포함한 시장소득에 공적이전소득과 공적이전지출을 가감한 뒤 가구원 수로 나눈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은 1분위(-8.1%)만 감소했다. 5분위는 9.1% 급증했다.

공적이전소득은 공적연금과 기초연금, 사회수혜금, 세금환급금 등을 포함하며, 공적이전지출은 경상조세와 연금, 사회보험 등을 포함한다.

1분위의 경우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각각 19.2%와 20.2% 급감한 게 전체 처분가능소득을 줄이는 데 영향을 줬다.

한편,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60만6천원으로 1년 전보다 3.6% 증가했다. 근로소득은 6.2% 증가했지만, 사업소득은 3.4% 감소했다. 이전소득은 11.9% 증가했다.

박상영 과장은 "상용직을 중심으로 임금근로자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근로소득이 늘어났지만, 내수 부진 등에 따라 음식료업과 소매업 등의 자영업이 부진하면서 사업소득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박 과장은 "국민연금 수급자 수 증가와 연금 월평균 지급 확대 등의 영향으로 공적연금이 24.3% 증가하고, 기초노령연금도 기초연금법 개정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데다 실업급여와 아동수당 등으로 구성되는 사회수혜금도 큰 폭 증가해 이전소득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pisces738@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