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이재헌 기자 = 북미 정상회담 장소인 베트남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 건설업체들이 북한이 경제개방의 모델로 삼으려는 베트남에서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는 데다, 향후 북한 시장이 개방될 경우 베트남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경제협력 파트너로 부상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다.

26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우리 기업의 베트남 수주액은 지난 2006년부터 큰 폭으로 늘어 매년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발주 등으로 2018년에 44억달러대로 기록 중이다.





베트남은 최근 5년간 우리 건설사의 전 세계 수주 10대 국가에 이름을 올리고 있고 지난해에는 아랍에미리트(UAE)에 이어 두 번째로 수주가 많았다.

해건협 관계자는 "베트남은 건설 및 인프라 투자 규모가 매년 늘고 있다. 베트남의 인프라, 건설 성장률이 연간 7%를 유지할 것"이라며 "업계에서도 신남방정책을 베트남 중심으로 고려하는 분위기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베트남에서의 수주 성적이 좋았던 것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신남방정책과 같은 범정부적인 외교정책, 한국에 대한 우호적인 정서 등이 작용한 덕분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권역별 수주를 보면 1위가 중동에서 아시아로 넘어오는 단계"라며 "베트남은 주요한 시장으로서 봉제·가공 등 단순 제조업보다는 반도체 등 기술이 가미된 업종이 유망하고 건설업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2040년까지 베트남에 필요한 인프라 투자는 전기, 도로, 통신 순으로 많을 전망이다.





베트남은 재정 부족으로 민간협력사업(PPP) 등 외국인 투자를 지속할 방침이다.

해건협은 '아시아 해외건설시장 주요 동향 및 진출전략' 보고서에서 "공적개발원조(ODA) 지원 사업을 활용한 수주를 늘리고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등 투자개발사업 전담기관을 활용해 PP시장 확대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북한도 개발을 본격화하면 베트남처럼 ODA를 이용하거나 민간유치에 나설 수 있다. 북한이 세운 경제 개발계획상 인프라 소요만 1천억달러에 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16년 원산시 개발을 위한 투자제안서를 공개하면서 사업자가 프로젝트 건설 후 일정 기간 운영해 사업자금을 충당하는 BOT(Build-Operate-Transfer) 방식을 추진했다.

건설산업연구원은 '북한 인프라 개발사업의 재원조달 방안' 보고서에서 중국과 미국 등 주변국 정부와 다자개발은행, 민간금융기관이 참여하는 혼합금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hj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