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변명섭 기자 = 올해가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의 원년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향후 누가 주도권을 쥐고 수요를 창출해낼지 주목된다.

세계 최초로 인폴딩 형태의 폴더블 스마트폰을 내놓은 삼성전자와 여전히 아웃 폴딩 형태에 머물러 있는 화웨이 등 중국업체가 향후 얼마나 완성도 높은 제품으로 승부할지가 관건이다.

4일 IT업계에 따르면 올해가 스마트폰 업체들의 폴더블폰 출시 경쟁이 본격화된 첫해로 삼성전자(사진)를 시작으로 중국업체 화웨이, 로욜, TCL 등이 폴더블폰 시제품을 공개하고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애플과 구글도 이르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폴더블폰 시장에 진입해 경쟁은 더욱 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올해 140만대에서 내년에는 520만대로 급성장하고, 오는 2020년 1천750만대, 2021년 2천310만대에 달하고 오는 2025년에는 5천50만대로 폭발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 불과 5년 남짓 사이에 시장 규모가 10배 정도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관련 산업도 크게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바탕으로 한 분석이다.

이에 따라 올해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에서 누가 선도 업체로 치고 나가느냐가 중요해졌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가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확대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다양한 제조업체에 공급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자신감이 적극적인 시장수요 확대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애플과 구글, 중국업체까지 공급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MWC에서 화웨이는 BOE와 협력해 폴더블폰을 내놓았지만, 삼성전자의 인폴딩 폴더블폰보다는 기술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삼성전자는 앞선 기술력으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장 자체를 넓혀 이 시장의 주도권을 쥐는 것으로 목표로 삼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추정한다.

여기에는 삼성디스플레이의 앞선 기술력이 자리하고 있어 가능하다.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역시 지난달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정기총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삼성전자 외 다른 업체에도 공급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가 공급처를 확대하면서 시장을 넓히면 이는 궁극적으로 시장을 선도하는 삼성전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삼성디스플레이가 폴더블 패널을 확대 공급하는 배경은 삼성전자에 독점 공급하는 것과 비교해 글로벌 시장 확대 측면에서 실익이 크다"며 "삼성디스플레이의 기술이 LG디스플레이와 BOE에 비해 3~5년 격차가 벌어져 있어 초기 중소형 OLED 시장과 유사한 독점적 지위 확보가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인폴딩 폴더블 기술이 아웃폴딩보다 기술적으로 뛰어난 상황에서 사용자들은 앞선 기술에 매료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삼성은 시장 자체를 넓혀 자신들의 기술을 시장의 메인으로 각인시키길 바라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msbyu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