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7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최근 작년 명목 GDP 증가율이 3.0%라고 발표했다.

명목 GDP 증가율은 2016년 4.7%에서 2017년 5.4%로 늘었다가 작년 큰 폭으로 하락했다.

명목 GDP가 둔화하면서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에도 어려움이 커질 전망이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난 1월 가계부채 증가율을 2021년까지 명목 GDP 성장률 수준인 5%대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올해 1월 가계대출이 2천억 원 순감소하는 등 정부의 가계부채 억제 정책을 효과를 내고 있지만, 명목 GDP 증가율이 반등할 계기를 찾지 못한다면 경제 총량보다 부채가 더 빨리 증가하는 상황을 타파하기는 어렵다.

가계부채 증가율이 다시 반등할 위험도 있다. 신한금융투자에 따르면 대규모 아파트 입주 물량 공급이 올해 상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올해 아파트 입주 물량은 38만5천 호가 넘고, 이 가운데 상반기에 21만4천 호가 몰려있다.

신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아파트 입주 물량의 집중은 전년 하반기부터 개시됐고 올해 상반기까지는 지속될 전망"이라며 "(입주 물량이) 신규 가계대출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주 요인"이라고 말했다.

가계부채의 절대 규모는 여전히 위험한 수준이다. 증가율이 둔화해도 절대 규모가 크다면 가계부채의 실제 증가액은 크게 감소하지 않을 수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작년 전(全)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75조1천억 원 늘었고, 2017년에는 90조5천억 원 증가했다.

또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말 가계신용 규모는 1천534조6천억 원이다. 명목 GDP 대비 가계신용 비중도 작년 기준 86%에 달한다.

가계신용은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을 포함한다.

자산운용사의 한 채권 운용역은 "GDP 대비 가계부채 규모는 이미 금융위기 당시 미국 수준"이라며 "가계부채의 절대 규모가 위험한 상황인데 증가율만 강조한다면 이는 대중에게 솔직하지 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jhha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