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종혁 기자 = 중국 경제의 성장세 감속에 대한 과도한 우려보다는 앞으로 전개될 중국의 성장구조 전환 및 대외협력 방식 변화에 유의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지난해 중국 경제는 1990년 이후 최저인 6.6%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10일 '미·중 무역갈등 이후 중국의 경제 상황 및 위험 요인 평가' 보고서에서, 무역갈등 심화는 중국의 실물경제에 일부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아직은 부정적 영향이 심각하지 않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무역갈등과 성장세 감속으로 우려를 낳았던 부채와 부동산 관련 리스크도 대규모 부실화와 경착륙 위험으로 확대될 가능성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은 경제성장 지원을 위해 통화정책을 완화적 기조로 운용할 계획이나 대규모 유동성 공급은 없을 것을 강조했다.

또 중국 정부는 부동산 안정화 정책을 견지하는 가운데 도시별로 투기억제와 수요유인이라는 이원화된 방식의 정책을 이어갈 전망이다.

이는 정부가 부동산시장 규제를 이어가면서도 높은 불확실성을 감안해 부분적이고 선제적인 완화조치를 동시에 펼쳐가는 것을 의미한다.

한은은 대외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중국의 소비시장 확대정책은 강화될 것이므로 이를 공략하기 위한 우리 기업의 선제적인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중국은 무역협상이 타결되더라도 미국 보호무역주의가 계속된다는 전망을 바탕으로 수출 의존도는 낮추는 한편 내수 기반은 확충하는 방식으로 성장구조 전환을 강화할 가능성이 엿보이고 있다.

이미 시행된 개인소득세 감면에 이어 증치세율의 큰 폭 인하(제조업 기준 16%→13%) 등 내수 진작을 위한 전방위적 감세 정책이 이달 전인대에서 발표됐다.

libert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