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은행에 명확한 완화적 통화정책을 주문하면서 파장이 어느 정도 미칠지 시장참가자들의 시선이 집중됐다.

채권시장에서 힘을 잃었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다시 살아날 가능성이 있어서다.

13일 IMF는 연례협의 결과에서 한국에 추가경정예산(추경)과 명확한 통화완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IMF는 특히 한국은행에 금리를 인하하더라도 심각한 자본유출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며, 통화정책 기조가 명확하게 완화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한국의 성장률은 2.6~2.7%로 제시했다. 이는 한은이 제시한 올해 성장률 전망치와 비슷하다.

이에 앞서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은 한국의 올해 성장세 둔화를 우려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성장률을 전망하면서 한은의 금리 인상을 에둘러 비판하기도 했다.

KDI는 지난해 11월 경제전망을 발표하면서 "국내 경기가 낙관적이지 못한 상황이고, 다양한 불확실성이 있다"며 "단기적으로 경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화는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좋다"고 말하기도 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 6일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2.6%로 기존 전망치보다 0.2%포인트 낮췄다.

하지만 IMF의 권고를 한은이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지난해에도 IMF는 한은이 추가 금리 인상에 신중히 해야 한다고 제언했고, 통화완화 입장을 유지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한은은 그해 11월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한은은 기준금리를 올렸지만 '여전히 완화적'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런데도 채권시장은 다시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살아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다만, 정부가 가계부채에 대해 지금과는 다른 판단을 내려야만 본격적인 금리 인하 가능성이 가격에 반영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 증권사 채권 딜러는 "IMF가 추경과 완화적 통화정책을 주문한 건 그만큼 국내 경기가 좋지 않기 때문이다"며 "한은의 다음 스텝은 금리 인하가 되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집값 잡기에 여념이 없기에 한은이 먼저 금리를 내리겠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정부의 스탠스 변화에 더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른 증권사 채권 딜러 역시 "현재 정부를 제외하고는 경기를 살리기 위해 기준금리를 더 올리면 안 되는 데 동의한다"며 "한은이 가계부채 문제로 금리를 올렸기 때문에, 정부 기조가 바뀌기 전까지는 먼저 금리를 내리겠다는 말을 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나라는 이미 완화적으로 기조를 바꿨지만, 한은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됐다"고 덧붙였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