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브렉시트 시점을 2주여일 앞두고 브렉시트 합의안이 부결되면서 '제2 국민투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지난달 말 제1야당인 노동당의 제러미 코빈 대표가 제2 국민투표를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국민투표가 현실화할 가능성도 커졌다.

2016년 열린 브렉시트 국민투표에서는 영국 유권자 4천650만 명 중 72.2%가 참가해 51.9%가 'EU 탈퇴'에, 48.1%가 'EU 잔류'에 표를 던진 바 있다.

12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와 텔레그래프 등 외신들에 따르면 브렉시트가 현재 제2 국민투표에 부쳐질 가능성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우선 브렉시트를 찬성하는 이들은 제2 국민투표를 비민주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미 국민투표를 통해 결정한 사안인 만큼 이를 되돌리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매번 투표를 통해 기존 결과를 되돌릴 경우 시스템에 대한 회의론도 커질 수 있다.

하지만 퀘벡주나 푸에르토리코의 독립 등이 여러 차례 표결로 결정됐다는 점에서 현대사에서 아예 없는 일도 아니다.

브렉시트 잔류를 주장하는 이들은 상황이 바뀐 만큼 표결을 다시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많은 이들이 브렉시트가 가져올 결과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표결에 나섰다는 점에서 국민의 의견을 다시 물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영국이 브렉시트를 다시 국민투표에 부칠 경우 결과는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투표용지에 적힐 선택지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도 나올 수 있다.

저스틴 그리닝 영국 보수당 하원 의원은 6개월 전 제2 국민투표를 제시하며 'EU 잔류, 메이 총리의 안대로 탈퇴, 노딜 브렉시트' 등 세 가지 선택지를 주장한 바 있다.

이 방식은 EU 잔류를 원하는 이들에게 확실히 유리한 방식이다. EU 탈퇴를 원하는 이들이 메이 총리 방식과 노딜 브렉시트로 표가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EU 잔류파에 유리한 방식이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EU 탈퇴와 잔류를 결정한 뒤 탈퇴 선호도가 높을 경우 2차로 메이 총리안이냐 아니면 노딜이냐를 결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어떤 방식이 되든 국민투표를 개시할 경우 결론에는 수개월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

관련법을 수정하고, 추가로 선거 캠페인을 벌여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는 14일 의회 표결에서 브렉시트가 연장될 경우 제2 국민투표 가능성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또다시 국민투표가 이뤄진다면 어느 쪽이 이길까.

지난 1월 초 발표된 유고브 여론조사에서는 국민투표가 곧바로 이뤄진다면 응답자의 46%가 EU 잔류를, 39%가 EU 탈퇴를 원한다고 답변했다. 나머지는 모름, 무응답, 미투표 등이 차지했다.

결과에서 무응답과 미투표 등을 제외할 경우 EU 잔류와 탈퇴는 각각 54:46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메이 총리의 합의안과 EU 잔류, 노딜 등을 함께 조합할 경우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일명 콩도르세 방식으로 불리는 선호도 표결에서 순위를 매긴 후 다수표를 얻은 것을 결정할 경우 잔류와 메이안은 50:50, 잔류와 노딜은 52:48, 딜과 노딜은 65:35로 나타났다.

매체는 여러 시나리오가 모두 잔류로 기울지만, 그렇다고 모든 결과가 결정적인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실제 2016년 국민투표를 앞두고 캠페인 내내 EU 잔류가 탈퇴를 앞지른 바 있기 때문이다.

ysyo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