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남북한 경제협력이 10년 이상 활성화돼야 은행과 증권사 등 민간금융 중심의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우상현 국민은행 IB 사업본부장은 13일 '북한 경제개방과 남북경제협력 기대효과'를 주제로 열린 연합인포맥스 통일금융 콘퍼런스에 참석해 이 같은 남북 경제협력 단계별 인프라 금융 추진 방향을 설명했다.

우 본부장은 "경제협력이 고도화되는 10년 차 이후부터 양측의 협력과 투자가 전문화되고 민간금융 위주의 자본시장도 구축될 수 있다"며 "국내외 직접 투자가 활성화되는데 민간투자사업(PPP)과 프로젝트 파이낸싱(PF)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남북 경협 초기에는 정책금융의 역할이 중요한 대신, 북한 경제 활성화와 제도 안정화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민간금융의 비중이 확대될 것이란 게 우 본부장의 설명이다.

그는 남북경협 1단계는 신뢰 관계를 구축하는 시기로 정책금융이 주도의 기존 경협사업이 재개될 것으로 예측했다.

금강산과 백두산 등 관광사업 재개, 개성공단 확대, 남북 접경지역 도로 연결 등이 그 예다.

이 과정에서 정부 재정, 남북협력기금을 활용하고 인접국의 공적개발원조(ODA)를 비롯한 개발금융이 중심이 될 것으로 설명했다.

2단계로 접어든 남북경협 초기 3~10년까지는 경제특구나 주요 철도 확장, 발전소 신설 등의 사업에 정책금융과 민간금융이 함께 투입할 수 있다고도 언급했다.

정책금융의 PF가 본격화되는 과정에 민간금융이 참여하는 형식이다.

우 본부장은 "남북 경제협력 초기에는 인프라 개발에 투자를 집중할 수밖에 없다"며 "한국의 3분의1 수준인 고속도로와 노후화된 철도, 항만시설 등을 현대화하는데 필요한 조치"라고 말했다.

경제협력 10년 차 이후인 3단계부터는 한반도 신경제지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남북 경협에 성공하면 물류 경쟁력이 높은 육상 교역이 확대되면서 대륙 경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며 "중국 동북 3성의 경제권 활용은 물론 자원과 에너지, 공업, 무역 등 전방위적인 남북한 산업 성장과 함께 산업 재배치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반도와 중국, 러시아를 잇는 교통과 가스 파이프라인 연결사업 등이 핵심 프로젝트로 손꼽혔다.

우 본부장은 "장기적으로 남북경협이 고도화되면 비즈니스에 입각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한다"며 "이 과정에서 소비재와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민간투자나 외국인 직접 투자 등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jsjeo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