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경림 기자 = 이동통신업계가 내달 5G 상용화를 앞두고 요금제 출시에 골머리를 썩이고 있다. 미국 이동통신사는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염두에 두고 있는 가격대보다 훨씬 높은 요금제를 선보여 수익성을 꾀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정부와 시민단체의 가격 인하 압박이 거세다.

21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이번주 중으로 5G 요금제 재심사를 신청한다. LG유플러스와 KT의 경우 1등 사업자인 SK텔레콤이 요금제 허가를 받으면 이에 맞춰 적정 수준에서 신고를 할 수 있다.

앞서 과기부는 지난 5일 SK텔레콤이 5G 이용약관 인가 신청을 한 것에 반대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해당 요금제가 지나치게 고가라는 이유에서다. SK텔레콤의 요금제는 당초 7만5천원이 최저가로 9만5천원, 12만5천원 등 3종으로 구성됐다.

정부는 여기에 5만원 안팎의 중저가 요금제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도 나서 5G 통신비를 월 3만-4만 원대까지 낮춰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참여연대의 경우 이날 광화문과 여의도역, 시청역, 강남역 등에서 5G 요금 인하를 촉구하는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업계의 목소리는 전혀 다르다. 업계에서는 이미 SK텔레콤이 먼저 내놓은 요금제도 그리 불합리한 수준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과거 롱텀에볼루션(LTE)이 처음 나왔을 때도 요금제는 6만원대에서 형성됐다.

5G는 LTE보다 최대 전송속도도 20배 정도 빠르고 이용자 체감 속도 또한 10~100배 정도 차이 난다. 그만큼 기지국 등에 들어가는 투자 비용도 많아지면서 요금 인상도 필요하다는 게 업계 입장이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5G를 활용하는 콘텐츠 개발이 활발하다는 점도 이동통신사들의 비용이 늘어나는 부분이다.

이 같은 이유로 미국 버라이즌의 경우 최저 요금제가 95달러, 한화로 11만원에 이른다. 경제소득이나 통신환경 등을 고려해야 하겠지만, SK텔레콤이 신청한 요금제보다 4만원 정도 비싸다.

한 이동통신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이 일단 요금제 허가를 받아야 알겠지만, 5만원 이하로 낮출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며 "당장 4월 초에 시작한다고 하더라도 일상생활에서 소비자들이 느끼는 변화는 크게 없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kl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