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서울 채권시장이 기준금리 인하 기대를 더 강하게 반영하고 있지만 가계부채 문제가 여전히 발목을 잡는다는 분석이 나온다.

22일 채권시장에 따르면 전일 국채 10년 금리는 4.9bp 하락하며 작년 12월 저점 수준으로 떨어졌다.

3년 금리도 2.0bp 내린 1.793%를 나타내 1.8%대를 뚫고 내려왔다.

금리 하락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놓은 올해 금리 동결 전망에 따른 것이다.

연준이 올해 2회 인상에서 동결로 선회하면서 한국은 자본 유출 우려를 덜었고,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의 필요성도 줄었다.

다만 금융불균형 문제의 또 다른 이슈인 국내 가계부채는 여전히 살아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1월 4천억 원 감소했던 전(全)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2월 1조3천억 원 증가했다.

다만 2월 증가 규모는 작년 같은 달의 3조3천억 원보다 2조 원 줄었다.

이일형 한은 금통위원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나라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금융기관의 부채 수준이 높다는 점에서 금융 불균형 누증 가능성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올해 주택 입주 물량의 증가도 가계부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에 따르면 2018년 입주 물량은 45만4천 호로 역대 최고 수준이었고, 올해 입주 물량도 38만5천호에 달한다.

또 작년 분양 물량의 이월 때문에 1월 아파트 분양물량은 약 3만4천 호로 전년 동월 대비 92% 증가했다.

2019년 제4차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올해 및 내년 중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 증가 등으로 집단대출 및 전세자금 수요가 상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에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가계부채의 둔화세를 확인하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점도 기준금리 인하의 장애물이다.

신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가계대출 데이터 발표의 시차 때문에 한은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미리 얘기하기가 애매하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허태오 삼성선물 연구원은 "가계대출 증가율 수치가 2~3분기 시차를 두고 발표되는 점을 생각하면 (한은이) 당장 금리 인하 기대를 차단하는 입장을 거두기는 쉽지 않다"며 "당분간은 시장금리가 내려가 작년 기준금리 인상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때마다 한은이 인하 기대를 차단하는 상황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jhha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