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자본주의의 꽃으로 불리는 주주총회 시즌이 막바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많은 논란과 얘깃거리를 남긴 올해 주총은 한국 자본주의의 미래에 큰 변화를 남긴 첫발로 기억될 것이다. 가장 달라진 것은 스튜어드십 코드(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로 대표되는 주주행동주의의 부상이다. 국민연금이 적극적인 주주권을 행사하기로 하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일부 기업의 주총안건에 반대의사를 표명했고, 행동주의 펀드와 의결권 자문사들이 주요 기업들에 배당과 사외이사 추천권을 요구하는 등 전례 없는 변화가 있었다.

현대차와 한진칼, 대한항공, 삼성바이오 등 국내를 대표하는 기업들은 주총이 시작되기 전부터 여러 비판과 논란에 시달렸고, 상장사들 중 상당수가 주주들의 강도 높은 요구에 직면했다. 형식적인 질의응답과 자화자찬만 늘어놓던 예년과는 분명 달라진 부분이다.

특히 땅콩 회항, 물컵 갑질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대한항공은 국민연금과 세계 최대 의결권 자문기관인 ISS가 조양호 회장의 사내이사 연임을 반대하면서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조 회장이 총 274억원 규모의 배임ㆍ횡령으로 기소된 점이 기업가치를 훼손하고 주주권을 침해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총 분위기 변화 속에 기업들은 적극적으로 주주친화 정책에 나서며 달라진 분위기에 적응하려 애쓰는 모습을 보였다. SK와 CJ 등의 일부 계열사는 전자투표제를 도입해 주주들의 편의를 제공하는 한편 주총 날짜를 분산해 주주이익을 제고하려 노력했다. 일부 기업은 주총장에 IR 부스를 만들어 소통하려는 노력을 보이기도 했다. 일부 기업의 경우 임원은 물론 오너가문까지 나서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들을 찾아가서 설명하기도 했다는 후문이다.

주주 행동주의의 확산이 기업들에 달라진 자세를 요구했고, 기업들이 이에 화답했다고 볼 수 있다. 주주 권리가 강화되면서 기업에 대한 감시와 견제의 역할을 했고 기업 지배구조 변화 등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냈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기업 뿐만 아니라 중소ㆍ중견기업들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고 한다. 현대홈쇼핑 등은 행동주의 펀드들로부터 배당확대나 자사주 매입 등 주주가치를 제고해줄 것을 요구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주주 권리의 확대가 부정적인 측면을 노출한 것도 사실이다. 해외자본인 엘리엇은 현대자동차에 무리한 배당과 사외이사 선임을 요구했으나 주주들의 승인을 얻지 못했다. 엘리엇의 요구는 기업의 발전을 위한 것인지 사사로운 이익을 위한 것인지 분간할 수 없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일각에선 '약탈적 주주'라는 오명을 씌우기도 했다.

성숙한 주주총회가 되기 위해선 주주들은 기업이 수용할 수 있는 선에서 권리를 주장해야 할 것이다. 지나친 요구는 오히려 기업의 건전성을 저해하고 기업인의 의욕을 꺾을 우려가 있다. 기업들도 무조건 반대만 하지 말고 주주들의 목소리를 경청해야 할 것이다. 달라진 주총 문화가 더욱 성숙해지려면 주주와 기업 모두 지나치면 부족함만 못하다는 '과유불급'이라는 말을 유념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증권부장)

jang73@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