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올해 들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의 규제효과가 본격화되면서 시중은행의 개인신용대출이 감소세로 돌아섰으나 인터넷전문은행의 총여신 규모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개인신용대출 규모는 전달보다 5천13억원 줄어든 100조3천90억원으로 집계됐다.

시중은행의 개인신용대출은 올해 초부터 뚜렷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올해 1분기에만 감소폭이 1조5천842억원에 달한다.

금융당국과 금융권에서는 이 같은 신용대출 감소가 지난해부터 전면적으로 도입된 DSR 관리지표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DSR은 대출자가 매년 갚아야 하는 원리금을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70%를 넘으면 위험대출, 90%를 넘으면 고위험대출로 분류된다.

사실상 모니터링 수준이던 은행권의 DSR 규제를 작년 10월 말부터 의무화하면서 은행도 위험대출과 고위험대출을 일정비율 이상 취급할 수 없게 됐다.

특히 시중은행은 위험대출을 15%, 고위험대출을 10% 이하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지방은행과 특수은행에 비해 DSR 규제 영향이 더 크다.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시중은행과 달리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인터넷은행의 대출 잔액은 여전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인터넷은행들은 아직 기업대출과 주택담보대출 등을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총여신 규모가 곧 개인신용대출 규모로 볼 수 있다.

카카오뱅크의 지난달 말 현재 총여신은 9조6천665억원에 이른다. 이는 작년 말(9조826억원)과 비교해 6.4% 증가한 수치다.

케이뱅크의 여신 규모도 1조4천900억원으로 전년 말(1조2천641억원)보다 17.9% 늘었다.

전문가들은 인터넷은행들이 30~40대 고객 위주의 대출영업전략을 펼친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더욱이 30~40대 고객은 50대 이상에 비해 DSR이 상대적으로 낮아 규제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는 해석이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카카오뱅크가 시중은행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었던 것은 30~40대를 성공적으로 공략했기 때문"이라며 "대출 규제가 DSR 중심으로 변경될 경우 DSR이 상대적으로 낮은 고객을 많이 보유한 카카오뱅크의 점유율 확대가 나타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wchoi@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