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경림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에 성공하고 향후 전략을 발표한 가운데 향후 시장성과 개선해야 할 점 등에 관심이 집중된다.

8일 과기부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5G 관련 네트워크 장비와 단말, 디바이스 등 연관 산업은 오는 2026년까지 총 1천161조 규모로 커질 것으로 기대됐다. 2024년까지는 전 세계 네트워크의 40% 이상이 5G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5G 네트워크 장비와 스마트폰 사업은 기존 5G 통신 시장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초기 시장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 이와 관련된 시장은 2026년 기준 139조원 규모다.

이에 과기부는 2026년까지 5G 전략 산업에서 생산액 180조원, 수출 730억 달러를 달성하고 일자리 60만개를 창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5G 10대 핵심산업과 5대 핵심서비스를 선정하고 공공부문에서도 적극적으로 도입해 시장을 키운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특히 민간과 협력해서 2022년까지 30조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과기부는 이 같은 장밋빛 미래를 제시했으나,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들도 산적해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무선인터넷 다운로드 속도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스마트폰 등이 잘 갖춰져 있다는 점에서 강점이 있다.

하지만, 미국 등 경쟁국보다 투자 및 내수 시장이 작고 단말기 이외에 장비 산업은 비교 열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외국산 네트워크 장비를 사용하는 비율은 2015년 40.9%에서 2016년 49.5%까지 올랐다.

중소 장비 업체들은 해외 경쟁 장비사들과 비교해 5G 관련 업력이 짧아 '레퍼런스를 만들기 어렵다'고 성토한다. 이를 위해 유사 업체들끼리 공동으로 5G 서비스, 모듈 등을 연구·시험할 만한 환경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또 초기 수익모델이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R)에 치우쳐 있고 관련 콘텐츠가 부재하다는 점도 소비자가 실감하는 한계다. 실제로 최근 통신사들이 5G 상용화 이후에 내놓은 소비자 콘텐츠를 보면 실감형 미디어에 치중됐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5G 상용화로 수많은 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가운데, 이와 관련된 보안 문제, 안전 확보 등도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즉 지난해 11월에 발생한 KT 아현국사 화재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면 5G 환경에서는 속수무책이기 쉽단 얘기다.

특히 자율주행차나 원격 의료의 경우 사고가 발생할 경우 책임 소재를 두고 논란이 발생할 수도 있다.

5G 산업 육성안은 대부분이 B2B 사업에 치중되어 있지만, 현실적으로 빠르게 구체적인 성과를 내기는 어렵다는 점도 지적된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스마트 로봇이나 스마트팩토리 관련 기술도 자리 잡는 데에는 5년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관측됐다. 실제로 과기부도 로봇 분야에서 공공 서비스 로봇 시범사업을 하는 데에 4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기업들이 5G를 활용한 서비스를 도입하더라도, 실질적인 이점이 무엇인지 아직 나타난 바는 없다. 이 때문에 일부 ICT 기업을 제외하고는 적극적으로 사업에 접목하기 어렵다.

LG경제연구원은 "B2B용 서비스가 등장하는 시기가 5G 상용화 시점과 차이가 있어 문제가 된다"며 "이런 문제들은 통신사만의 힘으로 해결하기 쉽지 않고,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하는 사업을 하는 편이 도움이 될 것이다"고 진단했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5G라고 해도 아직 국민이 실감하고 체험할 만한 콘텐츠, 서비스는 부족한 실정이다"며 "시장이 커진다고 해도 B2B 중심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꼬집었다.

kl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